항상 그랬듯 이 번 앨범 역시 붓가는 데로 그려진 다양한 색채를 띄며 아주 실험적인 작품이다. 전에 들을 수 없었던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그 기초적인 방법론은 락을 베이스로 깐 후에 그 위에 다양한 일렉트로닉 사운드 기법들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 번 앨범의 장르를 굳이 적용하자면 일렉트록이라고 할 수 있는 데 이는 오래 전 즉, 약 70~80년대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시도이나 이 앨범에서 그러한 시도와 약간의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은 이 앨범에서는 일렉트로니카 뿐만 아니라 락 역시 철저하게 일렉트로니카를 만드는 방법론으로 만들어 졌다는 데에 있다. 리얼 연주 보다는 철저하게 키보드 중심, 가상 악기의 프로그래밍의 기법이 전면적으로 결헙되었 고 이는 점점, 실사를 닮아가는 영화 3D Animation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적인 특성은 현재 유행하는 많은 음악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곡소개]
1. 이분놀이
락 사운드를 BGM으로 깔고 그 위에 서로 극단적으로 상반되는 단어들이 나열됨. 두 가지의 컨셉과 두 가지의 언어를 써서 '2' 라는 개념에 포인트를 줌. 제목이 '이분놀이' 이기 때문에 곡 런닝타임도 2분에 때려 맞출려고 했으나 가사의 분량 때문에 무리라는 판단이 들어서 7분 때의 곡으로 왕창 늘려지게 됨.
2. Wallace
Adapted From "Brave Heart". 10대 후반 '월레스' 라는 영웅의 삶을 다룬 영화에서 받은 감동을 아직까지도 잊을 수가 없다. 그 느낌을 담은 곡. 음악적으로는 여러 가지 전자음이 반복되며 점점 그 위에 어쿠스틱한 전자 드럼 사운드가 들어오고 점점 감정을 증폭시켜 나감. 그 위에 보컬은 잔잔한 나레이션으로 진행..
3. 국가들
비트랩 스타일의 곡으로써 이 곡 역시 문장이 아닌 단어의 나열만으로 이루어 졌으며 첫번째 트랙과 마찬가지로 소년적이며 로보틱한 보이스와 사운드가 특징인 곡.
4. 열림과 닫힘
Adapted From "Bible". 일렉트록 (Electrock)곡으로써 태초에 인간이 있었고 인간은 근본적으로 닫힘 보다는 열림을 추구한다는 내용. 이는 진보의 진정한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실험적인 사운드 위에 메시지는 고전의 현대적 응용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5. Warning From Boy
우주적인 사운드를 배경으로 아주 소년적인 보이스를 담아 외계스러운 메시지를 던지는 곡. 비트랩 스타일이 가미되었다.
6. We Love Wisdom
Adapted From "Bible". 4번 트랙과 마찬가지로 이 곡 역시 일렉트록 (Electrock) 트랙으로써 마치 고전과 환타지가 결합한 듯한 정서가 물씬 풍기는 곡. 오래 전에 이 세상을 살다간 옛 성인들의 메시지가 로보틱 보이스로 전달된다.
7. You Gotta Keep This
정신없이 전개되는 Trash Metal 사운드가 곡 전반을 지배하는 곡. 아주 하드한 곡으로써 마치 경고하는 듯한 사뭇 위압적이며 기계적인 목소리가 Overdrive 이펙트를 거쳐 펼쳐진다. "당신은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제목.
8. 도망쳐 Part 2
"도망쳐" 2탄으로 암울한 현실에서 탈피하고픈 외계인의 절규. Part 1에 비해 곡전개가 훨씬 더 복잡해 지고 다채로워진 느낌이 강하게 물씬 풍기는 곡.
9. 외부의 적 2016
제목 그대로 적은 외부에 있다는 설정인 데 그러나 그 적은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 진다는 것. 내부단속과 단합을 위해 증오의 표적을 외부로 설정해 버리는 데 이는 그 동안 수 많은 우주전쟁영화의 테마가 되어 왔다. 미드 "V" 에서 외계인이 지구인을 설득하기 위해 했던 연설의 일부가 인용됨.
10. 열려라 곳간
"곳간을 열어라 (Open The Warehouse)" 의 비트랩 (Bitrap/Beatrap) 리메이크 트랙. 시종일관 현란하고 정신없는 사운드로 전개되는 데 이 곡 역시 보이스는 매우 소년적으로 표현되었다.
11. 미안해 2016
데뷔곡으로써 20대의 풋풋하고 아련한 그리움의 감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더 소년적인 창법으로 녹음된 곡. ....
![](http://i.maniadb.com/images/btn_back.gif)
![](http://i.maniadb.com/images/btn_more.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