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국악보급진흥회,제작·발매:(주)오리엔탈레코드,
공급:국악춘추사 DYCD-1409(1CD/재판), 1999년 제작되었으며 유동초의 퉁소연주로 1937년 녹음 된 음원이 2008년 ‘조석연과 함께 떠나는 우리 악기 여행 <악사 유동초> 통해 재발매 되었으며 연주 시간은 3분 37초이다. 중모리 34개의 장단으로 연주 되었다.. 이 음원으로 통해 본인이 복각, 재현 연주를 하였으며 퉁소 봉장취 음악애호가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봉장취 음악중에 하나이다.
2. 유동초 봉작취(봉장취) 퉁소 : 최여영 장구 : 신재현
1937년 Victor Star KS 2007(KRE186) 洞簫獨奏 鳳雀吹 柳東初鼓韓成俊
유동초가 퉁소를 연주하고 , 한성준의 장구로 반주된다. 연주시간은 3분 11초이고, 제작년도 는 1937년이다. 자진모리 중 98장단의 계면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인이 2009년 11월 30일 서울 무형문화재전수관에서 진행된 (사)동북아음악연구소 의 봉장취 복원 재현 공연에 연주 되었다. 곡 중 '똑딱 이새가 울어' '빠꾸기가 울것다' '피꼬리가 울어' ‘머리 빗것다’와 같은 아니리를 하고 퉁소로 새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풍각쟁이에 의해 연주 되었던 원초 봉장취의 유형과 가장 가까운 방식의 곡이다.
3.한범수류 퉁소산조 퉁소 : 최여영 장구 : 신재현
대금과 해금, 퉁소의 명인으로 유동초의 산조를 이어받아 한범수류 퉁소산조를 만들었다.
본 음원은 1997년 대성음반 DAC-690 음반을 통해 음악을 복원 재현 하여 한국퉁소연구회의 정기연주회를 통해 본인의 연주에 의해 소개된 바 있으며 진양, 중모리, 빠른굿거리, 자진모리 장단의 구성으로 유동초 봉장취의 가락과 한범수 선생의 음악적 기량이 녹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4. 최여영류 퉁소산조 퉁소 : 최여영 장구 : 신재현
봉장취, 새타령, 봉황곡 등으로 연주되던 퉁소 산조 원형 음악의 복원연주작업을 통해 유동초,정해시, 편제준 등의 작고 퉁소명인들의 음악세계와 본인의 연주기량, 음악적 표현을 작곡 형태로 구성한 산조이다. 2022년 5월 26일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광무대상설공연 에 선정되어 초연되었으며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장단 구성으로 정해시의 봉장취 가락중 새타령, 북청사자놀음의 사자춤 반주음악의 변주, 남방 퉁소로서의 매력를 극대화한 육자배기 토리, 강원 영서권의 메나리 가락을 더하여 다양한 토리로 구성한 퉁소산조이다.
크레딧
채보 및 복원 : 최여영
연주(퉁소) : 최여영
반주(고수) : 신재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