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서경 아쟁산조는 다양한 조 변화가 두드러지는 산조로, 대체적으로 계면이 주를 이루는 기존 아쟁 산조에 가야금 산조 우조•강산제, 판소리의 호걸제 등 여러 조의 가락을 차용하였다. 본래 완성도 높은 계면가락 위주의 가락 사이에, 차용한 가락들을 알맞게 다듬어 배치하여 조의 변화를 다채롭게 보여주는 곡이다.
또한 윤서경 아쟁 산조만의 조현법에서는 가장 낮은 1번 줄을 기존 음(G)에서 한음 더 낮게 F음으로 조율한다. 본래 C본청에서 F본청으로 전조되는 선율에서 저음을 더해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을 극대화한 것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맺고 끊음이 분명하며 깊은 표현이 풍부한 산조로, 전체 장단 구성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 자진모리로 되어 있다.
Yun Seo-kyung Ajaeng Sanjo
Yun Seo-kyung's Ajaeng Sanjo is characterized by its distinctive shifts in musical modes. While traditional Ajaeng Sanjo primarily employs the Gyemyeon mode, this piece incorporates various melodic elements from Gayageum Sanjo's Ujo and Gangsan modes, as well as Pansori's Hogeol mode. The composition maintains a foundation of well-crafted Gyemyeon melodies, seamlessly integrating borrowed phrases to create a rich and dynamic progression of modes.
A unique feature of Yun Seo-kyung's Ajaeng Sanjo is its specialized tuning method. The lowest string (1st string), which is typically tuned to G, is lowered by a whole step to F. This adjustment enhances the depth of the melody when modulating from a C tonic to an F tonic, allowing for a fuller and more expressive low register.
With clear phrasing and profound expressiveness, this Sanjo follows a structured rhythmic progression, transitioning through Jinyangjo - Jungmori - Jungjungmori - Jajinmori in sequence.
Ajaeng : 윤서경 Seo-kyung Yun
Jang-Gu : 윤재영 Jae-young Yun
Recording Engineer : 서준형, Jun-Hyung Seo
Recorded & Mastered at Sonus Studio, Seou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