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무상의 연꽃
<조계종 제11회 신작찬불가>
무상의 연꽃에 가사에서 느낀 감정은 현실의 복잡함은 잊고 덧없는 세상에 대한 많은 기대와 욕심보다는 지금 '찰나'의 시간을 통해 느껴지는 소박하고 순수한 감정을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5음음계를 사용하여 국악풍의 색채를 선사하고자 하였다.
02.바람이 될게
오랜 세월 마음 한편에 자리 잡은 기억. 이 곡은 떠난 사랑을 원망하거나 슬퍼하는 대신, 바람이 되어 다시금 그 곁으로 머물고자 하는 애틋한 마음을 담고 있다. 마치 세월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흔적처럼, 사랑과 이별, 기다림의 감정이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전통 국악의 선율을 바탕으로 한 이 곡은 한국적인 정서를 깊이 머금고 있다. 가사에서는 바람, 달등 자연적 요소를 통해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였고, 특히, 불교 철학의 ‘인연법(因緣法)’이 곡의 깊은 메시지를 완성한다. 인연은 생겨나고 사라지지만, 그것이 반드시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될 운명이라면, 그 순간을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 곧 진정한 사랑일 것이다. 이 곡은 변치 않는 헌신과 인연의 소중함을 노래하며, 지나온 시간 속에서 떠올릴 누군가를 가만히 불러일으킨다. 바람이 되어 스며들 듯 다가가는 마음, 그리고 그저 곁에 머물고 싶은 간절함이 이 곡의 중심을 이룬다. 듣는 이로 하여금 자신의 기억 속 깊은 곳에 자리한 사랑과 이별을 되새기게 하며, 흩날리는 바람결 속에서 위로와 평온을 전하는 곡이 될 것이다.
03. 연화
「향화(香火)는 풍랑(風浪)을 쫓고, 명월(明月)은 해문(海門)에 잠겼도다.
영좌 (領坐)도 울고, 사공(沙工)도 울고, 접근 화장이 모두 울음을 운다.
우후청강(雨後淸江)저 백구(白鷗)는 범피창파(泛彼蒼波) 높이 떠서, 도용 도용 떠나 간다.」
꽃이 진 자리에, 비(雨)가 내리고, 비(悲)가 내린 자리에, 다시 꽃(蓮)이 피어나니, 그 모습이 애처롭고도 아름답구나...
04.오세요 그대
<조계종 제10회 신작찬불가>
이 곡은 전통 국악의 선율적 아름다움과 4/4 리듬을 결합하여, 누구나 함께 노래하며 밝은 에너지를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덕신스님의 가사는 관세음의 미소와 음성을 통해 청중에게 따뜻한 사랑, 위로, 긍정의 메시지를 전한다. 가사에서는 관세음의 미소를 피어나는 연꽃에 비유하며, 미소 짓는 순간마다 마치 연꽃처럼 순수하고 맑은 내면의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또한 “고맙다”, “잘한다”와 같은 짧은 격려의 한마디는 관세음의 따스한 사랑의 음성으로 전해져, 모든 고통을 씻어내고 가슴을 열게 만드는 힘을 상징한다. 이 곡은 국악적 멜로디와와 현대의 리듬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청중들이 자연스럽게 함께 부르며 서로의 마음을 격려하고 치유받을 수 있는 따뜻하고 밝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05. 25현 가야금병창을 위한 탑돌이
탑돌이는 불교 의식에서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 대중적 축제로 발전하고, 조선 이후 민속 행사로 정착했다. 이 과정에서 음악적 요소가 추가되며 불교적 색채의 민요가 형성되었고, 남도잡가의 한 갈래로 전승되었다. 이 곡은 ‘탑돌이’ 민요의 본래 정서를 명상음악과 치유 음악의 색채로 재해석하여, 느리고 서정적인 분위기로 구성되었다. 특히, 25현 가야금병창을 중심으로 편곡하여, 섬세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넓은 음역과 풍부한 표현력을 지닌 25현 가야금의 연주와 병창이 어우러져, 탑을 돌며 기도하는 순간의 평온함과 경건함을 음악으로 형상화한다.이 곡은 듣는 이로 하여금 내면의 평화를 되찾고, 탑을 돌며 쌓이는 기도의 정성과 수행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전통의 깊이를 현대적 감성으로 풀어낸 이 작품은 단순한 민요를 넘어, 마음을 치유하고 명상의 시간을 선사하는 음악으로 다가갈 것이다.
01 – 무상의 연꽃
기획사 : 플랫201 (Flat201)
음악감독 : 천주미 (Chun Jumi)
예술감독 : 박천지 (Park Chunji)
디렉터 : 선보미 (Sun Bomi)
앨범 디자인 : 이슬이 (Yi Seulyi)
레코딩 스튜디오 : 에스피 뮤직 (Sp Music), 레드포인트 레코드 (Redpoint Record)
레코딩 엔지니어 : 손홍희 (Shon Honghui), 박준하 (Park Junha)
믹싱 : 손홍희 (Shon Honghui)
마스터링 : 손홍희 (Shon Honghui)
작사 : 일윤스님
작곡 : 박준하 (Park Junha)
편곡 : 박준하 (Park Junha), 선보미 (Sun Bomi)
피아노 : 선보미 (Sun Bomi)
보컬 솔로 : 천주미 (Chun Jumi)
25현 가야금 : 김미림 (Kim Milim), 김가현 (Kim Gahyeon)
장르 : 가야금병창
02 – 바람이 될게
기획사 : 플랫201 (Flat201)
음악감독 : 천주미 (Chun Jumi)
예술감독 : 박천지 (Park Chunji)
디렉터 : 선보미 (Sun Bomi)
앨범 디자인 : 이슬이 (Yi Seulyi)
레코딩 스튜디오 : 에스피 뮤직 (Sp Music), 레드포인트 레코드 (Redpoint Record)
레코딩 엔지니어 : 손홍희 (Shon Honghui), 박준하 (Park Junha)
믹싱 : 손홍희 (Shon Honghui)
마스터링 : 손홍희 (Shon Honghui)
작사 : 한송이 (Han Songyi)
작곡 : 선보미 (Sun Bomi)
편곡 : 선보미 (Sun Bomi)
보컬 솔로 : 허정현 (Heo Junghyun)
코러스 : 이건혜 (Lee Geonhye), 김가현 (Kim Gahyeon)
가야금1 : 허정현 (Heo Junghyun)
가야금2 : 이건혜 (Lee Geonhye)
가야금3 : 김가현 (Kim Gahyeon)
건반 : 선보미(Sun Bomi)
장르 : 가야금병창
03 - 연화
기획사 : 플랫201 (Flat201)
음악감독 : 천주미 (Chun Jumi)
예술감독 : 박천지 (Park Chunji)
앨범 디자인 : 이슬이 (Yi Seulyi)
레코딩 스튜디오 : 에스피 뮤직 (Sp Music), 레드포인트 레코드 (Redpoint Record)
레코딩 엔지니어 : 손홍희 (Shon Honghui), 박준하 (Park Junha)
믹싱 : 손홍희 (Shon Honghui)
마스터링 : 손홍희 (Shon Honghui)
작사 : 심청가 중 범피중류 대목 인용
작곡 : 손다혜 (Son Dahye)
솔로 : 전소이(Jeon Soi)
코러스 : 허정현 (Heo Junghyun), 이건혜 (Lee Geonhye), 김가현 (Kim Gahyeon)
가야금1 : 허정현 (Heo Junghyun)
가야금2 : 이건혜 (Lee Geonhye)
가야금3 : 김가현 (Kim Gahyeon)
장르 : 가야금병창
04 – 오세요 그대
기획사 : 플랫201 (Flat201)
음악감독 : 천주미 (Chun Jumi)
예술감독 : 박천지 (Park Chunji)
디렉터 : 선보미 (Sun Bomi)
앨범 디자인 : 이슬이 (Yi Seulyi)
레코딩 스튜디오 : 에스피 뮤직 (Sp Music), 레드포인트 레코드 (Redpoint Record)
레코딩 엔지니어 : 손홍희 (Shon Honghui), 박준하 (Park Junha)
믹싱 : 손홍희 (Shon Honghui)
마스터링 : 손홍희 (Shon Honghui)
작사 : 덕신스님
작곡 : 선보미(Sun Bomi)
편곡 : 선보미(Sun Bomi)
노래 : 김미림 (Kim Milim), 김가현 (Kim Gahyeon)
코러스 : 김미림 (Kim Milim), 김가현 (Kim Gahyeon), 박예지 (Park Yeji), 이건혜 (Lee Geonhye), 전소이 (Jeon Soi), 허정현 (Heo Junghyun), 선보미 (Sun Bomi)
가야금1 : 박예지 (Park Yeji)
가야금2 : 김미림 (Kim Milim)
가야금3 : 전소이 (Jeon Soi)
건반 : 선보미 (Sun Bomi)
장르 : 가야금병창
05 - 탑돌이
기획사 : 플랫201 (Flat201)
음악감독 : 천주미 (Chun Jumi)
예술감독 : 박천지 (Park Chunji)
디렉터 : 선보미 (Sun Bomi)
앨범 디자인 : 이슬이 (Yi Seulyi)
레코딩 스튜디오 : 에스피 뮤직 (Sp Music), 레드포인트 레코드 (Redpoint Record)
레코딩 엔지니어 : 손홍희 (Shon Honghui), 박준하 (Park Junha)
믹싱 : 손홍희 (Shon Honghui)
마스터링 : 손홍희 (Shon Honghui)
작사 : 민요 탑돌이 인용
작곡 : 선보미 (Sun Bomi)
편곡 : 선보미 (Sun Bomi)
보컬 솔로 1 : 김가현 (Kim Gahyeon)
보컬 솔로 2 : 김미림 (Kim Milim)
코러스 : 허정현 (Heo Junghyun), 이건혜 (Lee Geonhye), 박예지 (Park Yeji), 김가현 (Kim Gahyeon)
가야금1 : 허정현 (Heo Junghyun)
가야금2 : 이건혜 (Lee Geonhye)
가야금3 : 김가현 (Kim Gahyeon)
장구 : 박천지 (Park Chun Ji)
건반 : 선보미 (Sun Bomi)
장르 : 가야금병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