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창가곡(男唱歌曲)-순종(順從)』
가곡은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이라는 가명을 쓰기도 한다. 만년장환지곡의 이름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가곡은 시조시(時調詩)를 얹어 부르는 노래이다. 가곡을 위하여 많은 시조를 모아 엮은 책에는 그 대표적인 것으로 청구영언(靑丘永言)·해동가요(海東歌謠)·고금가곡(古今歌曲)·가곡원류(歌曲源流) 등이 있다.
청구영언의 영언(永言)은 시경(詩經)의 ‘시는 뜻을 말한 것이고, 노래는 말을 길게 한 것이다’ (詩言志 歌永言)라고 한 데서 온 말이고, 가요(歌謠)나 가곡(歌曲)은 시가나 노래의 일반 명칭이라 하겠다. 현재 부르고 있는 가곡은 고금가곡·가곡원류라고 부르던 그 가곡에서 온 이름이다.
가곡에는 남창 26곡과 여창15곡이 내려온다.
이번 음반은 가객 예찬건이 부르는 남창가곡으로 총 26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주는 가곡의 합주 음원을 사용하여 다소 곡의 연주가 느리기도 하다.
이에 반주에 맞춰서 노래를 불렀다는 의미로‘순종(順從)’이란 부제를 달았다.
가객 예찬건
故 일관(一觀) 이기릉(李基綾) 선생께 영제시조 師事(1984년~1996년)
국가무형유산 가곡 이수자
원광대학교 국악과 졸업
제2회 전국정가경창대회 일반부 성인1부(가곡·가사) 금상 수상
제13회 전국국악경연대회 가곡·가사·시조부문 일반부 대상 수상
(재)월하문화재단 사무국장 / 선비문화기획 대표
시조 시인
음반:
①‘가객 예찬건 정가·악(신나라 2 CD)’
②‘가객 이세춘의 팔도유람기’,
③‘가객 예찬건의 옛노래 새 가락’,
④‘가객 이세춘의 팔도유람기_우조의 완성 그리고 옛 성현을 만나다’,
⑤‘예찬건의 단소 영산회상’,
⑥‘가객 예찬건의 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
⑦‘가객 예찬건의 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⓶ _선비, 풍류로 쉬어가다.
⑧‘가객 예찬건의 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⓷_(사)한국시조협회 시인 편.
⑨‘가객 예찬건의 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⓸_박헌오 시인(詩人)의 <대전팔경가>
⑩‘가객 예찬건의 옛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⓶_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자연가
⑪‘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옛 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⓷』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어부사사사(漁父四時詞) 춘사(春詞)’
⑫‘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옛 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⓸』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어부사사사(漁父四時詞) 하사(夏詞)’
⑬‘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옛 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⓹』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어부사사사(漁父四時詞) 추사(秋詞)’
⑭‘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옛 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⓺』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어부사사사(漁父四時詞) 동사(冬詞)’
⑮‘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옛 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⓻』이세보(李世輔)의 순창팔경가’
⑯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⓹』울 엄마 소천(召天) 하신날
⑰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영판좋다! 영제시조(嶺制時調) 100곡(曲)』
⑱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매헌(梅軒) 윤봉길(尹奉吉) 의사(義士) 노래』
⑲‘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옛 노래(古歌) 새 가락(新調) ⓼』사육신(死六臣)의 노래_死六臣忠義歌’
⑳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⓺』남선 박청길 시인의 ‘행복을 사다’
㉑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새 노래(新歌) 새 가락(新調)⓻』신계전 시인의 ‘석간수’
㉒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석암제(石菴制) 시조창(時調唱)』
㉓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여창가곡(女唱歌曲)』
㉔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 남창가곡(男唱歌曲)』
(25)∼(36) 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백옥생(白玉生) 1영(詠)∼백옥생 12영(詠)』
(37)제1회 예찬건 영제시조 발표회『영판 좋다 영제 시조』
(38)제2회 예찬건 영제시조 발표회『영판 좋다 영제 시조』
(39)가객(歌客) 예찬건(芮讚乾)의『남창가곡(男唱歌曲)-순종(順從)』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