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발매되었던 <강효진 가야금 창작곡집 -기억의 그림자> 음원을 국악 레이블 악당(樂黨)에서 온라인 음원으로 새롭게 발매한다.
가야금 연주자 강효진은 가야금 앙상블 사계의 창단 멤버로 활동하며 가야금 앙상블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현재 국립국악원 정악단 지도단원으로 활동 중이다. 가야금 창작곡집 ‘기억의 그림자’ 앨범은 강효진의 가야금 창작음악 첫 번째 앨범으로, 여러 연주를 통하여 발표하였던 가야금 창작 음악들을 선별해 담은 앨범이다.
기억의 그림자
1. 기억의 그림자 – Part 1
2. 기억의 그림자 – Part 2
3. 기억의 그림자 – Part 3
작곡 박영란
25현가야금 강효진 / 첼로 안희진 / 타악기 김웅식
아련한 기억의 그림자...
그 그림자를 쫓아 따라간다.....
“그때 그곳이 어디였나?” “그 공간에서 뭘하고 있었지?” ................
수많은 기억들은 중첩되어 사방에서 몸부림친다.
어느새 희미한 기억의 그림자는 생생한 기억으로 점점 더 가까이 다가온다..
점점 더 가까이...........
“기억의 그림자”는 시간의 흐름에 의해 희미해져 버린 기억의 현상과 몇 가지의 감각-색깔, 냄새, 바람의 세기, 장소의 느낌, 촉감 등을 통해 생생한 기억으로 되살아나는 과정을 소리와 함께 이미지화시켜 표현하였다. 처음 부분은 “기억”이라는 주제의 선율을 해체의 형태로 나타내지만 점차적으로 주제의 구조를 명백하게 드러내며, 과거의 기억이 되살아나며 다가오는 과정을 입체적인 강약의 대비, 주제의 변주와 리듬의 변화로 그려나간다.
혼불 - 젖은 옷 소매
4. 혼불 - 젖은 옷 소매 Part 1
5. 혼불 - 젖은 옷 소매 Part 2
6. 혼불 - 젖은 옷 소매 Part 3
작곡 임준희
18현가야금 강효진
2007년 서울국제페스티벌에 위촉곡으로 작곡 초연되었고 2008년 프랑스 칸느 MIDEM Festival에서 공연된 곡으로 한국의 전통 산조를 현대적으로 자유롭게 재해석하여 가야금의 신비한 음향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한 곡이다. <젖은 옷 소매>는 작가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서 영감을 받아 쓰여진 것으로, 한 여인이 베를 짜며 상념에 젖어 지나온 삶에 대한 회한과 돌아오지 않은 님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독주 가야금의 선율에 실어 보았다.
이때 독주 가야금의 선율은 생의 씨줄과 날줄이 교차하듯 때로는 고요히, 때로는 격렬하게 음의 씨줄과 날줄을 엮어 생의 무늬를 짜 나간다. 이 곡의 전체적인 형식은 9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용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 전통 산조에서 나타나는 느리게 시작하여 점차 빨라져 가는 구조로 전개되며 마지막에 감정이 고조에 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베틀에 앉아
옷감을 짜며
그리움으로 뭉쳐진
마음의 응어리가
맺혔다가 풀어졌다가
산같은 열망으로 변했다가
물같은 거품으로 사그러들었다가
베틀에 얹혀진
선율과 함께
이리 흐르고
저리 흐르다가
방울 방울로 모여져
끝내 뚝뚝 떨어지는 눈물이
옷 소매를 적신다.
아르키메데스의 법칙
7. 아르키메데스의 법칙 - Part 1
8. 아르키메데스의 법칙 - Part 2
9. 아르키메데스의 법칙 - Part 3
작곡 안 진
25현가야금 강효진 / 마림바 김은정
배가 물 위에 뜨는 것은 아르키메데스의 법칙 때문이다.
내 안에 채워진 것을 비울 때 비로소 수면 위로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이 곡은 나를 가볍게 하기 위한 성숙으로의 과정을 묘사한 곡이다.
Labyrinth of Mind
10. Labyrinth of Mind - Part 1
11. Labyrinth of Mind - Part 2
12. Labyrinth of Mind - Part 3
작곡 박영란
25현가야금 강효진 / 대금 이창우 / 타악기 김웅식
처음 부분은 ‘나는 누구인가?’의 의문을 안은 채 가야금 연주자가 음비라(Mbira)를 연주하며 등장한다. 현실의 자아(가야금)는 분열된 자아(대금)를 찾기 위해 다가가지만 그는 점점 멀어지는 이미지를 음형의 전위형태로 표현하였고, 타악기는 두 개의 모순된 자아의 Echo로 나타내었다. 두 번째 부분은 본격적으로 분열된 자아를 찾기 위해 미로에의 여행을 떠나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 동기로 사용되었던 음형(장2도, 단3도)이 가야금 파트에서 반복적으로 주제선율(완전5도, 단3도, 장2도)과 함께 등장하며 또 다른 레이어(충)를 형성한다. 결국 이 두 가지 요소가 두 자아의 모습을 그리는데 때론 선율적으로, 때론 음형의 해체와 리듬이 변형되어 나타난다. 미로를 헤매다가 멈춰 서서 ‘여기가 어디지?’라고 독백하는 세 번째 부분은 두 가지 요소(동기음형과 주제선율)가 가야금의 느린 선율로 확장 묘사되고, 결국 현실의 자아와 분열된 자아간의 격렬하고 극단적인 충돌과 대립을 마지막 부분에서 빠른 템포로 그리며 또 다른 미로로 빠져든다.
겨울 밤, 초를 켜다
13. 겨울 밤, 초를 켜다 - Part 1
14. 겨울 밤, 초를 켜다 - Part 2
15. 겨울 밤, 초를 켜다 - Part 3
작곡 이건용
산조가야금(12현) 강효진
이건용의 12현가야금을 위해서 쓰는 첫 번째 독주곡이다.
대조되는 두 가지 이미지가 교차한다. 큰 어둠과 작은 빛 혹은 규정할 수 없는 스산함과 조용히 흔들리는 고독이 그것이다. 두 이미지가 교대되면서 서로 닮아 가기도 하고 배척하기도 하고 또는 제 삼의 에피소드를 만들기도 하면서 곡을 이끌어나간다. 그 구조는 <별과 시>에서와 같다.
가야금 연주가 강효진을 위하여 2010년 11월에 완성하였다.
[아티스트 소개]
강효진
▽ 학력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 서울대학교 음악학과 석사
- 서울대학교 음악학과 박사
▽ 경력
- 가야금 앙상블 ‘사계四界’ 동인
- 국립국악고등학교, 목원대학교, 수원대학교, 서울대학교, 중앙대학교 강사 역임
-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현재
- 국립국악원 정악단 지도단원
- 아시아 琴 교류회 이사
- 서공철류산조 보존회 이사
- 단국대학교 출강
-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 누보 앙상블 (NUVO Ensemble) 리더
▽ 수상
- 1994 제10회 동아콩쿠르 금상 수상
- 2002 KBS 국악대상 연주 단체부문 수상
▽ 음반
- 가야금 앙상블 ‘사계四界’ 1집
- 강효진 가야금산조 (최옥삼류)
- 가야금 창작곡집 ‘기억의 그림자’
- 강효진 가야금 풍류 琴音 ‘동대가야금보 단회상·현악취타계주’
- 누보 앙상블 (NUVO Ensemble) 1집 ‘The Layered’
▽ 논문
- 2001 이강덕 가야금 협주곡 연구
- 2018 가야금 창작곡 주법의 음향요소 분석 연구
▽ 주요 연주
- 1999년 제62회 조선일보 주최 신인 연주회 (세종문화회관)
- 2000년 국악 작곡 축제 연주
- 2001년 2002월드컵 홍보 문화 사절단 유럽 순회공연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 2002년 Le Lieu Unique 초청공연 (프랑스 낭뜨)
MIDEM ‘East Meet West’ (프랑스 칸느)
쌀타첼로 내한 공연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2003년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길> (국립국악원 우면당)
- 2007년 이탈리아, 독일 순회공연
- 2009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독주회 (서울대학교 문화관)
가야금 앙상블 <사계> 창단 10주년 기념공연 (이화여고 100주년 기념관)
- 2010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독주회 (서울대학교 예술판 콘서트홀)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국립국악원 우면당)
- 2011년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국립국악원 우면당)
- 2015년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공연 “종묘제례악” (프랑스)
- 2016년 “Asian Art Festival” 가야금산조 독주 (브루나이)
- 2017년 KOREAN MUSIC CONCERT (미국 커네티컷 하트포드 대학)
CHAMBER OPERA, From My Mother's Mother (미국 뉴욕 플러싱타운홀)
CHAMBER OPERA, From My Mother's Mother (미국 워싱턴D.C.Studio Theatre)
KOREAN SPEECH CONTEST - Special Guest Performance (미국 스토니브룩대학)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OOLM> (미국 뉴욕 플러싱타운홀)
Scent Like music for all - 가향민악 (미국 LA 한국문화원)
- 2018년 정악 그 깊은 울림, 한국의 선비음악 (독일 함부르크 음악대학)
정악 그 깊은 울림, 한국의 선비음악 (독일 뮌헨 바이에른 방송국)
PungNyu (벨기에 Royal Conservatory of Brussel 왕립음악원)
- 2019년 강효진 가야금 콘서트 <농현> (한국문화의 집 KOUS)
Secrets of 12strings (미국 뉴욕 Spectrum 70 Flushing Ave Brcoklyn)
- 2020년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연하일휘>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2021년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금음> (영산양재홀)
- 2022년 강효진 가야금 콘서트 <가야금 스펙트컴> (서울돈화문국약당)
강효진 가야금 독주회 <연하일휘> 두 번째 이야기 (선릉아트홀)
국립국악원 독일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퀠른 종묘제례악 연주
강효진 가야금 콘서트 <농현Ⅱ> (국립국악원 우면당)
- 2023년 아시아금교류회 30주년 기념연주회 협연 (국립국악원 예악당)
- 2024년 누보 앙상블 (NUVO Ensemble) 창단공연 (국립국악원 우면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