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de A | ||||||
---|---|---|---|---|---|---|
1. |
| - | ![]() |
|||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 동창 바람에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석양은 늘어져 갈매기 울고 능수 버들가지 휘늘어 진데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 산으로 가면 꾀꾀꼴 꾀꼴 음 어허야 에야 디야 둥가 어허야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다 남원산성 찾아가 후유 한숨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 동창 바람에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산천은 푸르고 산새는 우니 일만 꽃들이 보기가 좋은데 뻐꾸기는 짝을 지어 이 산으로 가면 뻐뻐꾹 뻐꾹 음 어허야 에야 디야 둥가 어허야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다 |
||||||
2. |
| - | ![]() |
|||
1. 갑돌이와 갑순이는 한 마을에 살았더래요
둘이는 서로서로 사랑을 했더래요 그러나 둘이는 마음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모르는 척 했더래요 2. 그러다가 갑순이는 시집을 갔더래요 시집간 날 첫날밤에 한없이 울었더래요 갑순이 마음은 갑돌이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안 그런척 했더래요 3. 갑돌이도 화가나서 장가를 갔더래요 장가간 날 첫날밤에 달보고 울었더래요 갑돌이 마음도 갑순이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 고까짓것 했더래요 고까짓것 했더래요 고까짓것 했더래요 |
||||||
3. |
| - | ![]() |
|||
새가날아든다 왠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중에는 봉황새 만수문전에 풍년새 삼교곡심 무임초 수립비조 뭇새들이 농촌화답에 짝을지어 생긋생긋이 날아든다 저 쑥국새가 울음운다 울어 음 울어 울어 울음운다 이산으로 가면 쑥국 쑥국 저산으로 가면 쑥쑥국 쑥국 어허 - 어히 - 어허 어허 어허 좌우로 다녀 울음운다 명랑한새 울음운다 저 꾀꼬리가 울음운다 어데로가나 이쁜새 어데로가나 귀여운 새 왠갖소리를 모른다하여 울어 - 울어 울어 울음운다 이산으로 가면 꾀꼴꾀꼴 저산으로 가면 꾀꾀꼴꾀꼴 어허 - 어히 - 어허 어허 어허 좌우로 다녀 울음운다 |
||||||
4. |
| - | ![]() |
|||
낙양성 십리허에 높고낮은 저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 이며 절세가인이 그누구며 우리네 인생 한번가면 저기 저모양될터이니 에라만수 에라대신이야 저건너 잔솔밭에 솔솔기는 저포수야 저비둘기 잡지마라 저비둘기도 나와같이 임을 잃고 밤새도록 임을찾아 헤멧노라 에라만수 에라대신이야 |
||||||
5. |
| - | ![]() |
|||
1 금수강산 닐니리야 얼시구좋다 닐니리야
강원도 물레방아 물결에 쿵쿵 돌아가고 충천도 풍년방아 슬금 살짝퉁 잘도돈다 물레방아 풍년방아 태평가에 닐니리야 어랑타령 창부타령 범벅타령 흥이났네 아리랑 쓰리랑둥실 내사랑아 니나노 닐니리야 닐니리 닐니리 삼천리야 2 팔도강산 닐니리야 지화자 좋다 닐니리야 경상도 풍채방아 바람에 쿵쿵 돌아가고 전라도 연자방아 슬금살짝궁 잘도돈다 풍채방아 연자방아 소문만복 닐니리야 장기타령 매화타령 범벅타령 흥이났네 아리랑 쓰리랑 둥실 내사랑아 니나노 닐니리야 닐니리 닐니리 삼천리야 |
||||||
6. |
| - | ![]() |
|||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아났네에
아리랑 음 음 음 아라리가아 났네에 문경세제는 웬고오갠가아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구나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아났네에~ 아리랑 음 음 음 아라리가아 났네에~ 왜왔던고 왜왔던고오 울고오 갈길을왜왔던고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났네에 아리랑 음 음 음 아라리가아났네~ 노다아가세에 노다나가세에~ 저달이떳다 지도록 노다나아가세에~ |
||||||
7. |
| - | ![]() |
|||
1.꽃다운 이팔소녀 울려도 보았으며
못생긴 첫사랑에 울기도 했드란다 주름진 치마폭에 화장한 얼굴위에 눈물이 얼룩지는 낙화 신세 이름마저 기생이라 이름이 원수다 2.빛나는 금강석 을 탐내도 보았으며 값없는 금강석에 울기도 했드란다 사랑도 떠나가고 청춘도 시들어져 외로이 울고 웃는 낙화 신세 마음마저 기생이라 모두가 그러냐 |
||||||
8. |
| - | ![]() |
|||
1. 얼시구나 좋다 절시구나 좋아
내강산 좋을시구 오늘은 강원도다 내일은 충청도라 꽃피는 금수강산 얼사좋구나 우리엄마 요다지 날곱게 길러서 천하일색 양귀비도 날부러워 하겠네 얼시구나 좋다 절시구나 좋아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야 2. 얼시구나 좋다 절시구나 좋아 내강산 좋을시구 오늘은 경상도라 내일은 전라도라 유람길 오고가니 몇천리드냐 우리엄마 요다지 날곱게 길러서 달님도 꽃본듯이 날 부러워 하겠네 얼시구나 좋다 절시구나 좋아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 닐리리야 |
||||||
9. |
| - | ![]() |
|||
삼사월 단비에 종자를 뿌려서
육칠월 햇볕에 오곡이 익었구나 얼씨구나 좋구나 풍년이 왔구나 풍년이 왔네 앞집에 참봉님은 지게를 지구요 뒷집에 아가씨는 낫들고 나간다 얼씨구 좋다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어 풍년이 왔네 앞강에 뜬 배는 돈 실러 가는 배 뒷강에 뜬 배는 돈 싣고 오는 배 얼씨구나 좋구나 풍년이 왔구나 풍년이 왔네 앞집에 막동이는 장가를 든다지요 뒷집에 순이는 시집을 간다지요 얼씨구 좋다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어 풍년이 왔네 |
||||||
10. |
| - | ![]() |
|||
1.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개골 개골 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살기좋은 고향으로 서방님이 오신다고 청개구리가 운다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아 서방님 오시면 기와집 짓고 깨가 쏟아 지도록 잘살아 보세 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개골 개골 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2.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개골 개골 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인심좋은 고향으로 서방님이 오신다고 청개구리가 운다 얼시구 좋다 절시구 좋아 삼천리 강산에 풍년이 오면 깨가 쏟아지도록 잘살아 보세 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개골 개골 개골 개골 청개구리가 운다 |
||||||
Side B | ||||||
1. |
| - | ![]() |
|||
사랑이 별거드냐 좋아하면 사랑이지
이래저래 정이 들면 호박꽃도 꽃이랑께 연분이 따로 있나 짝이 맞으면 연분이지 요모조모 뜯어보면 쓸만한 게 있드란다 기왕에 만났으니 잘살아 보자구요 예 사랑이 별거드냐 지나봐야 알 것이여 요래저래 눈에 들면 그럭저럭 살겠더라 지지고 볶아 본들 만났으면 별 수 없지 천하일색 양귀비도 시들으니 그만이다 기왕에 만났으니 잘살아 보자구요 예 |
||||||
2. |
| - | ![]() |
|||
꽃사시오~~~ 꽃사세요 네~
사랑 사랑~~에 꽃을 사시오~~~~ 꽃사시오 꽃을사 사랑 사랑의 꽃사시오 이송이 저송이 각꽃송이 향기가 풍겨나와요 이꽃 저꽃 저꽃 이꽃 해당화 모란화 난초 지초 왠갖 앵초 작약 목단에 장미화 사랑 ~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의 꽃사시오 꽃사시오 꽃을사 사랑 사랑의 꽃사시오 한송이 두송이 만꽃송이 향기가 풍겨나와요 이꽃 저꽃 저꽃 이꽃 해당화 모란화 난초 지초 왠갖 앵초 작약 목단에 장미화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 사랑의 꽃사시오 꽃을~~~ 사시오~~~~~~~ |
||||||
3. |
| - | ![]() |
|||
*진득아 진득아 럭국 황새 다리에 럭국 척달라 붙었다 럭국 뚝떨어 졌구나 럭국 진드기야 진드기 진득이야 황새다리세 척달라 붙었다 뚝떨어 졌구나 진드기가 진득아 진득아 럭국
황새 다리에 럭국 척달라 붙었다 럭국 뚝 떨어졌구나 럭국 진드기 진득이야 진득아 |
||||||
4. |
| - | ![]() |
|||
만고강산 유람할제 상심산이 어디메뇨
죽장짚고 풍월실어 봉래사를 찾아갈제 서산에 해는지고 월출동령 달이뜨니 어화 벗님네야 우리님은 어디갔나 어화 좋다 어화 좋아 우리님을 찾어가세 만고강산 유람할제 만학천봉 어디메뇨 경풍명월 가락실어 단발령을 넘어설제 천산은 천봉이요 물은잔잔 백곡이니 어화 벗님네야 우리님은 어디갔나 어화좋다 벗님네야 우리님은 어디갔나 |
||||||
5. |
| - | ![]() |
|||
에 금강산 일만 이천
봉마다 기암이요 한라산 높아 높아 속세를 떠났구나 에헤라 좋구나 좋다 지화자 좋구나 좋아 명승의 이 강산아 자랑이로구나 에 석굴암 아침경은 못보면 한이 되고 해운대 저녁달은 볼 수록 경이로다 에헤라 좋구나 좋다 지화자 좋구나 좋아 명승의 이 강산아 자랑이로구나 |
||||||
6. |
| - | ![]() |
|||
백두산을 찾아가자 백두산을 찾아가자
울긋불긋 봉우리요 아롱다롱 금문이라 천지연에 다다르니 천연수가 좋을시고 이끼 덮인 바위마다 대왕 꿈이 묻혔구나 낙동강을 찾아가자 낙동강을 찾아가자 늙은 버들 젊은 버들 상류 하류 칠백리라 영남루라 절벽에는 아랑꿈이 서려 있고 날아가는 저 새들은 오락가락 평화로다 |
||||||
7. |
| - | ![]() |
|||
1. 밀방아도 찧었오 길삼도 하였오
무명주 수건을 적시면서 울어도 보았오 아리아리 살작 흥- 스리스리 살작 흥- 고초당초 맵다한들 시집보다 더할손가 응-간다간다 초립동이 아저씨 따라간다 2. 시누이도 섬겼오 콩밭도 매였오 모본단 저고리 걸어놓고 보기만 하였오 아리아리 살작 흥- 스리스리 살작 흥- 시어머니 잔소리는 자나깨나 성화로다 응-간다간다 초립동이 아저씨 따라간다 |
||||||
8. |
| - | ![]() |
|||
천안도 삼거리 능수나 버들은 흥
제멋에 겨워서 흥, 축 늘어졌구나 흥 세월아 네월아 흥, 가지를 말어라 흥 장안에 호걸이 다 늙어 가누나 세상 만사를 생각을 하면은 흥 인생의 부영이 꿈이로구나 무정한 세월을 버들에 휘감고 흥 저 달이 지도록 흥, 한바탕 놀잔다 |
||||||
9. |
| - | ![]() |
|||
1. 울릉도 동백꽃이 곱게나 피면 섬처녀 빨간순정 안으로 타네
묵호로 떠난님이 돌아올까봐 뱃고동 울때마다 가슴 설레는 포구에 피는사랑 울릉도 사랑 2. 울릉도 동백보다 샛빨간 정을 버리고 가신님은 오시지 않네 묵호로 떠나가는 뱃고동 소리 나도야 님에게로 찾아갈까나 포구에 지는 사랑 울릉도 사랑 |
||||||
10. |
| - | ![]() |
|||
삼다도라 제주에는 아가씨도 많은데
바닷물에 씻은 살결 옥같이 귀엽구나 미역을 따오리까 소라를 딸까 비바리 하소연이 물결속에 꺼져가네 음 ~ 물결에 꺼져가네 삼다도라 제주에는 돌맹이도 많은데 발뿌리에 걷어채는 사랑은 없다드라 달빛이 지새드는 연자방앗간 밤새워 들려오는 콧노래가 구성지다 음 ~ 콧노래 구성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