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앙대학교 국악과에 특별강사로 출강하여 창과 병창 전수에 종사하고 있다.그럼 여기서 가야금 병창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야금 병창은 본질적으로 판소리에서와 같이 극적인 요소에 의한 변화성을 요구하지 앟고 또 가야금산조와 같이 고도한 기교에 이르지 않아도 가늠한 음악인 까닭에 너무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은 장단에 의하여 연주된다. 즉 중모리나 중중모리 장단에 의하여 부르는 판소리의 목푸는 소리인 단가는 판소리중 대중이 즐기는 대목을 부르기도 한다.
박귀희의 스승인 오태석의 특징은 단가 중 녹음방초, 호남가, 판소리 '춘향가'중 사랑가였고 강태홍은 단가로 죽장망혜, 청성영 지나갈세, 판소리'흥보가'중 제비노정기를 즐겨불렀다고 한다.</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