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음악적 전환에서 가장 핵심이 되었던 문제는 리듬이었다. 이처럼 프랑스 음악이 극도로 세속화되고 다성의 음악이 점점 작곡가들의 기교와 연주자들의 고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서 ‘아르스 섭틸리오르’라는 이름까지 생기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이탈리아 및 유럽의 다른 여러 나라에까지 퍼지게 되었다.
이 앨범에는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까지의, ‘아르스 섭틸리오르’가 극명했던 시기의 대표작들이 수록되어있다. ‘뒤파이’와 ‘뷔누아’의 작품이 눈에 띤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