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스타코비치는 교향곡과 현악사중주 양쪽 모두를 15곡씩 완성하였다. 그는 20세기 최고의 심포니스트로 대중적인 유명세를 누리고 있으나, 현악사중주 분야에서도 그는 단연코 지난 세기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였다. 교향곡들에서 므라빈스키가 작곡가의 솔 메이트 역할을 했었다면, 현악사중주 분야에서 같은 역할을 했던 이들이 바로 베토벤 현악사중주단이다. 이들은 작곡가의 현악사중주 중 1번과 15번을 제외한 13편의 초연을 맡았었다.(그중 6곡은 이 단체 전체 또는 멤버 개인에게 헌정된 곡이며, 피아노5중주 역시 이들과 작곡가 자신의 피아노로 초연되었다.) 1923년 결성된 이 사중주단의 창단 멤버는 드미트리 치가노프(1st vn), 바실리 쉬린스키 (2nd vn)와 세르게이 쉬린스키(vc) 형제, 그리고 바딤 보리소프스키(va)였다. 1962년 보리소프스키가 발병한 이후에는 그의 제자 표도르 드루지닌이 그 뒤를 이었고, 1965년 바실리 쉬린스키가 사망했을 때 공식해산을 결정했으나, 쇼스타코비치의 간곡한 부탁 등의 이유로 치가노프의 제자 니콜라이 자바프니코프를 새 멤버로 받아들여 활동을 계속해나갔다. 1978년 치가노프의 발병이후에도 사중주단의 명맥은 계속 이어졌으나, 그리 오래가지 못했고, 80년대 초반 마침내 이 위대한 현악사중주단은 음악사의 한 페이지 속으로 사라져갔다. 멜로디야는 앞으로도 이들이 60년대에 녹음한 쇼스타코비치의 현악사중주들을 계속해서 발매할 예정이다.
쇼스타코비치: 현악사중주 7번, 8번, 10번, 현악사중주를 위한 2개의 소품*
베토벤 현악사중주단, 코미타스 현악사중주단* (1961년, 65년, 69년 녹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