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조선민요의 연구’에 근거한 새로운 <창녕아리랑>,
이 음반을 나의 고향, 창녕에 바칩니다.
제작자: 정창관(정비앤에이(주) 대표 / www.jungbna.com)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고향은, 객지에서 산 시간이 더 길지라도, "그 곳이 참아 꿈엔들 잊힐리야" 라고 정지용 시인이 ‘향수’에서 노래한 것 같이 누구나 죽을 때까지 그리워한다.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은 취임연설에서 미국 국민에게 ‘국가가 당신을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묻지말고 당신이 국가를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물어라’라고 갈파하였다. 이 문귀는 한 평생 내 가슴속에 간직되어 왔다.
내가 고향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나는 국악애호가이다. 오랫동안 국악을 좋아하다보니 어느새 전문가 위치까지 오게 되었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은 국악음반을 만드는 일이다. 몇 년전에 일제강점기에 ‘창녕아리랑’이 있었다는 글을 보게 되어, 연구를 하게 되었고, 작년에 고향을 위해 ‘창녕아리랑’ 음반을 제작하여 고향에 기증할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렇게 이 음반은 탄생하게 되었다. 어느 지자체가 만들더라도 이 보다 더 잘 만들 수 없을 정도로 혼신을 노력을 더다하였다. 기증의 뜻을 희석하지 않기 위해 창녕군의 금전적인 도움을 전혀 받지 않고 진행하였다.
이 음반의 기증에 도와주신 분들이 많다. 형님(정규창), 동생(정창술. 정찰길)들의 지원이 있었기에 이 기증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소리꾼, 작곡자, 작사자, 유지숙 명창, 국악방송국은 창녕군에 저작권을 기증한다는 조건에 동의해 주었다. 음반 제작을 도와주신 재경창녕향우회, 창중총동문회와 창중20회동기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는 바이다. 해설서에 글을 보내주신 분들에게도 감사하다.
이 창녕아리랑이 널리 유포되어 창녕군민들게는 문화예술을 향유하게 하고 자긍심을 심어줌은 물론, 고향을 떠난 향우들에게는 애향심을 고취하는 매개체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이 음반을 나의 고향, 창녕에 바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