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공연은 조선시대 풍류음악을 출발점으로 한다. 풍류는 시(詩), 그림, 노래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이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와 노래에 집중하여 새로운 음악을 생산하였다. 시적 텍스트의 범위를 확장하여 현대시를 중심으로 작곡가와 교류한 결과물인 현악 중주곡 [낮에 죽은 그림자의 고양이의 노래], 가곡·가사·시조를 해체와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해금 독주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을 병행한 작품인 [어부사(漁父詞)]를 연주한다.
[작업노트]
천지윤의 해금 : 관계항3 : 시(詩) / 글 : 천지윤
[관계항2 : 백병동] 연습 과정에서 ‘빈약한 올페의 회상’이라는 시를 곰곰 들여다보았다. 최하림의 시를 백병동 작곡가가 노래로 만든 곡으로, 원곡을 듣다 해금으로 연주하고 싶다는 생각에 해금곡으로 개작을 의뢰한 것이었다. 개작된 악보에는 선율 아래 가사가 적혀있었다. 의식하지 않으려 해도 자연스레 시어들이 눈에 들어왔다. 이 시어들은 몸과 마음 구석구석을 물들이고 다녔다. 몸과 마음이 어떠한 색채로 물드니 자연스레 소리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시적 텍스트는 소리를 보다 유연하게 만들고 음표 이상의 어떤 것을 표현하게 만드는 힘이 있었다.
일상 언어로 구성된 산문이나 소설과 달리 시어는 짧은 언어에 많은 것들을 품고 있으며 단단하다. 수많은 침묵이 켜켜이 쌓인 듯. 어쩌면 언어가 없는 소리를 낸다는 것은 수많은 침묵을 품은 시어를 내는 것과 비슷한 작업이란 생각이 든다. 언어가 없는 상태. 이는 언어로 표현(구상, 한정, 가둬지기)되기 이전의 무한(無限)을 품은 추상(抽象)적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무한에 대해 시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계는 아름답다. 그렇기에 텍스트를 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언어가 없는 추상적인 음악 언어에 오래도록 길들여진 기악연주자의 신분으로, 텍스트를 중심에 둔 음악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텍스트로 인해 마음과 몸의 결에 변화가 일어나고, 마침내 소리가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나는 소리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시작했다. 내가 내는 소리가 ‘소리(음표) 이상의 무엇’이 될 것. 그것은 내 음악의 이상이자 바람이 되었다. ‘소리 이상의 무엇’이라는 것은 시적 텍스트에서 내가 간혹 느낀 것처럼 그것은 색채이며, 음영이고, 촉감이며, 온도이고, 움직임이며, 속도다. 좋은 음악은 이러한 모든 감각을 총동원해 시간과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여 그곳에 나를 존재하게 한다.
[관계항2 : 백병동]의 작품 중 ‘빈약한 올페의 회상’과 ‘화장장에서’를 연주하며 시어가 가진 남루한 마음 때문일까. 폐허가 되고 재만 남은 텅 빈 도시가 떠올랐다. 텅 빈 도시에서 누군가 뚜벅뚜벅 걸어나와 그 공간에 소리를 울린다. 소리는 여기저기 타다 남은 재와 터지다만 폭탄에서 새어나오는 연기 아지랑이처럼 초라하고 연약하다. 그 이미지는 연습을 하는 동안 내 머릿속에 떠올랐고, 정형화된 고급 공연장 보다는 남루하고 텅 빈 공간이 이 음악에 알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여 [관계항2]에서 ‘시’를 중심으로 연결성을 지닌 [관계항3]을 연주할 공간으로 정형화된 공연장은 일순위로 배제하였다. 이 음악이 자연스럽게 호응할 만한 공간은 어디일까? 이 음악의 정서를 극대화해 줄 수 있는 공간은 어디일까? 라는 고민이 장소 선택의 기준점이 되었다.
음악의 장르(형식)적인 측면은 조금 다르게 접근된 것이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음악그룹 비빙의 단원으로 활동하며 전통음악을 소재로 새로운 음악을 만드는 작업을 해왔다. 비빙은 이 기간 동안 불교음악 [이와 사](2008), 가면극음악[이면공작](2009), 궁중음악 [첩첩](2011), 판소리 [피](2014), [이종공간](2015) 프로젝트 등 총 5개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이후 내 솔로 프로젝트로 [관계항] 시리즈를 시작하는 시점은 그 당시 박사 논문 주제였던 [지영희 해금산조 변천과정 연구]에 천착하여 지영희 해금산조의 근원을 향하던 중이었다. 그렇게 [관계항1 : 경기굿]이라는 주제로 공연을 하게 되었다. 굿, 불교음악, 가면극, 궁중음악, 판소리가 주는 느낌은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적극적이다. 음악적으로도, 시각적으로도, 스케일의 면에서도, 이 음악들이 향하고 있는 대상(관객)과 용도의 면에서도 그렇다. 이러한 음악을 관통해오다 문득 조선미술에 관한 책을 읽으며 풍류의 세계에 대해 궁금해졌고, 조선 백자처럼 깨끗하고 고요한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마음을 품었다. 내가 관통해온 여러 음악의 반대편에 서있는 것, 바로 풍류음악.
풍류의 근간은 시(詩)다. 시를 짓고, 여기에 선율을 붙이고, 노래하고, 악기로 연주하고, 시와 더불어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풍류’라는 이름 아래 시, 음악, 그림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상에서 행하는 소박하고 작은 예술. 내적 즐거움을 위한 지극히 개인적인 예술행위. 이러한 풍류음악을 출발점에 두고 새로운 음악을 찾아 나섰다.
윤혜진 작곡가의 음반 [Soundscape]를 감명 깊게 들은바 있다. 이 작업과 윤혜진 작곡가의 작품 세계를 연결시키고 싶었기에 위촉 드렸다. 윤혜진 작곡가에게 이 공연의 출발점을 전하고 시 한편을 보내드렸다. 게오르크 트라클의 [아름다운 도시]라는 시가 그 즈음에 손에 잡혔다. 이 시를 시작으로 작곡가와 교류하였고, 이후 게오르그 트라클의 [밤의 노래]와 이장희의 [고양이의 꿈], [봄은 고양이로소이다]를 작곡가가 추가적으로 선택하였다. 이렇게 텍스트를 중심으로 교류하여 [낮에 죽은 그림자의 고양이의 노래]라는 작품이 탄생되었다. 4편의 시와 시조 [바람아]와 가곡 [태평가]의 시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총 8악장으로 약 30여분에 걸친 곡이다. 해금을 중심으로 25현 가야금, 38현 양금, 거문고, 타악으로 구성된 중주곡이다.
장영규 작곡가와의 작업은 텍스트 보다는 풍류음악인 가곡, 가사, 시조 등 음악적인 형식에 집중해 교류하였다. 가곡, 가사, 시조의 여러 음원을 찾아 듣다가 가객 홍원기(1922-1997)의 [어부사]에 귀가 멈춘다. 광활하고 고요한 물 위에 홀로 떠 있는 느낌을 주는데 그가 부른 [어부사]는 유달리 속기가 없이 느껴진다. 신선이 부르는 노래. 풍류의 경지는 일상을 잠시나마 벗어나 신선이 되고픈 마음이 아닐까. 작곡가 장영규와의 작업은 이 [어부사]로부터 시작했다. [관계항1 : 경기굿]의 경기굿#1, 경기굿#2의 작업 방식의 연장선상에 있다. 옛 명인의 소리를 차용, 샘플링하는 방식을 취한다. 해금 독주에 사운드와 영상 인스톨레이션이 병행되는 작품이다.
[작품 설명]
1. 낮에 죽은 그림자의 고양이의 노래 / 글 : 윤혜진
소리 작업에서 청각적 소리는 비청각적인 영역과의 소통에 의해 생산된다. 이번 작업에서 중심을 둔 텍스트는 시각적 문자이나 문자는 소리로 전이되고 문자와 소리의 의미는 한 공간에서 서로 대립하거나 결합하기도 하며 또 다른 의미로 변형되기도 한다. 이는 문자와 소리, 각기 의미 공간이 층층이 쌓여가는 여러 뜻과 의미와 상징으로 축적되어있는 성질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문자가 음절과 단어를 이루고 호흡적 배치로 문장으로 나열된 텍스트 중에서도 시는 소리의 의미 공간과 그 색채가 서로 닮아있다.
연주자와 작곡가 간의 소통은 음악 만들기 이전에 그 출발점을 두었는데 이번 작업의 시작은 연주자가 깊은 인상을 받은 시, 게오르크 트라클의 ‘아름다운 도시’이며 그는 현악 중심의 중주 편성을 제안하였다. 이로부터 본 작곡가는 텍스트를 확장시키고 악기 구성 및 연주 진행을 함께 고민하였다.
우선 게오르크 트라클의 ‘아름다운 도시’(1910)와 함께 그의 또 다른 시 ‘밤의 노래’(1909)와 비슷한 시기 한국 시인인 이장희의 시 ‘고양이의 꿈’(1925)과 ‘봄은 고양이로소이다’(1924)를 작업 텍스트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지름시조 ‘바람아’를 동일한 정서의 텍스트로 그리고 시조 창법의 설명 구절과 가곡 ‘태평가’ 일부를 보조적 텍스트로 삼았다.
게오르크 트라클(Georg Trakl, 1887-1914)과 이장희(李章熙, 1900~1929)는 이십 대 후반에 스스로 생을 마감한 시인들로서 나에게 두 시인의 의미 공간이 상호 연계되는 텍스트성으로 접근해왔다. 게오르크 트라클 시의 특징들 중의 하나로서 동시대의 시인과 화가 그리고 건축가들의 작업을 녹여내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은 그가 그의 시를 역동적인 의미 공간으로 스스로 던져버리는 행위를 상상케 한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소리 작업이 게오르크 트라클과 이장희의 시어는 물론 한국음악의 정서적 밀집도를 강하게 가지는 성악 중 하나인 시조(‘바람아’)와의 만남에서 그 행위를 연장시킨다.
이장희의 시에서 밝은 애달픈 노래를 부르는 고양이를 볼 수도 없고 그 소리도 들을 수도 없는 현실적 한계는 게오르크 트라클가 제시하는 대립적인 시어들과 연계된다. 트라클의 시에서 노래를 부르는 밝은 악기와 요란한 웃음소리는 소리 없는 종과 침묵이 노래이게 되는 처절한 바람과 결코 다르지 않은 영역에 놓여있으며 이는 세월아 가지마라 바람아 부지마라라고 붙잡을 수 없고 멈출 수 없는 대상에 대한 자연스러운 섭리를 역설적인 말과 의미로 던지는 시조 ‘바람아’와 맞닿아있다.
우리의 말과 소리가 ‘장님처럼 우리의 속삭임이 사라지는 침묵에 귀 기울이는’(트라클 시어) 지점에 서 있다면 ‘낮에는 죽은 그림자’(트라클 시어)였던 우리 스스로가 ‘어둠이 나를 지우는’ 아련하고 찬란한 순간을 맞이하는 것이라고 본다. 약 삼십 분간 이어지는 본 작업의 음향 공간에서 ‘나의 침묵이 그대의 노래’(트라클 시어)가 되는 순간들이 소리의 연속성을 만드는 공간, 즉 이번 음악 작업이 되기를 감히 바란다.
- G.T. “밤의 노래”
(전체 12편 중 발췌)
Ⅰ
어느 숨결의 그림자로부터 태어난
우리는 저버러져 살다가
영원 속에서 유실된다,
무엇에 바쳐진 것인지도 모르는 제물처럼.
…(중략)…
우리는 장님처럼 우리의 속삭임이 사라진
침묵에 귀 기울인다.
우리는 정처 없는 방랑자,
바람이 휩쓸고 간 구름,
죽음의 서늘함에 떨면서
도륙당하기를 기다리는 꽃들이다.
Ⅲ
그대 어두운 밤이여, 그대 어두운 마음이여,
누가 그대들의 가장 신성한 근거지를 비춰 주는가,
그대들이 가진 악의의 마지막 심연을?
가면은 우리의 고통으로 인해 굳어진다 ─ …(후략)…
Ⅵ
오, 나의 침묵이 그대의 노래이게 하라!
삶의 정원을 떠나버린 가련한 자의
속삭임이 그대에게 무슨 소용인가?
그대를 내 마음속에 이름 없는 채로 놔두어라 ─
꿈도 없이 내 마음속에 세워진 그대,
소리 없는 종 같고,
매력적인 내 고통의 신부 같고
도취한 내 잠의 양귀비 같다. …(후략)…
Ⅶ.
…(전략)… 밤, 속삭여진 질문 …(후략)…
Ⅷ
어둠이 말없이 나를 지웠다,
나는 낮에는 죽은 그림자였다 ─
- 시조 “바람아 부지마라”
바람아 부지마라
후여진 정자나무잎이 다 떨어진 다
세월아 가지마라
옥빈홍안이 공로(空老)로다
인생이 부득항 소년이니 그를 설워 하노라
- G.T. “아름다운 도시”
햇빛 머금고 침묵하는 옛 광장.
푸른빛과 황금빛으로 진하게 수놓아져
온후한 수녀들이 꿈처럼 서둘러 간다
무더운 너도밤나무 침묵 아래로.
갈색 빛을 받은 교회에서
죽음의 순수한 형상들이 바라본다,
위대한 제후들의 아름다운 문장(紋章, 가문의 표징),
교회에서 왕관들이 희미하게 빛을 낸다.
말(馬)들이 분수에서 솟아나온다.
나무에서 꽃발톱이 위협한다.
저녁에 소년들은 꿈인 양 어리둥절하며
그곳 분수 가에서 조용히 놀고 있다.
소녀들이 문가에 서서,
수줍게 다채로운 삶을 들여다본다.
촉촉한 입술이 떨리고
그녀들은 문가에서 기다리고 있다.
종소리 떨리며 흩날리고
리듬에 맞춘 행군 그리고 초병의 구호소리 메아리친다.
이방인들이 계단에서 엿듣고 있다.
오르간 소리 푸름 속에 드높다.
밝은 악기들이 노래 부른다.
정원들의 나뭇잎 캔버스 사이로
아름다운 부인들의 웃음소리 요란하다.
조용히 젊은 어머니들은 노래 부른다.
꽃이 무성한 창문가로 그윽하게
향연(香煙), 타르 그리고 라일락 향기 실려 온다.
창가 꽃 사이로 피곤한 눈꺼풀 은빛으로 깜박인다.
- 이장희 “고양이의 꿈”
시내 위에 돌다리
다리 아래 버드나무
봄 안개 내리인 시냇가에 푸른 고양이
곱다랗게 단장하고 빗겨 있오 울고 있오.
기름진 꼬리를 쳐들고
밝은 애달픈 노래를 부르지요.
푸른 고양이는 물오른 버드나무에 스르르 올라가
버들가지를 안고 버들가지를 흔들며
또 목놓아 웁니다. 노래를 부릅니다.
멀리서 검은 그림자가 움직이고
칼날이 은같이 번쩍이더니
푸른 고양이도 볼 수 없고
꽃다운 소리도 들을 수 없고
그저 쓸쓸한 모래 위에 선혈이 흘러 있소.
- 이장희 “봄은 고양이로소이다”
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
고운 봄의 향기가 어리우도다.
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르도다.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포근한 봄의 졸음이 떠돌아라.
날카롭게 쭉 뻗은 고양이의 수염에
푸른 봄의 생기가 뛰놀아라.
2. 어부사(漁父詞) / 글 : 천지윤
본 곡은 전통 가사(歌詞)인 [어부사(漁父詞)]가운데 가객 홍원기(1922-1997)가 남긴 음원을 출발점으로 한다. 본래 [어부사]는 조선시대 문인인 이현보(1467-1555)의 ‘어부사’를 노랫말로 삼아 노래한다. 본 공연에서 연주할 장영규 작곡의 [어부사]는 part 1에서 원곡인 [어부사]를 해금 독주로 연주한다. part 2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즉흥적인 연주를 통해 확장된다. 가사가 탈락된 채 무언(無言)의 소리로 표현되는 세계. 시적 이미지가 오로지 소리의 형상으로 그려진다.
- 이현보 “어부사(漁父詞)”
설빈어옹주포간 雪鬢漁翁住浦間
자언거수승거산 自言居水勝居山
배 띄여라 배 띄여라
조조자락만조래 早潮자落晩潮來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至菊叢 至菊叢 於斯臥
의선어부일견고 依船漁父一肩高
청고엽상양풍기 靑菰葉上凉風起
홍요화변백로한 紅蓼花辺白鷺閒
닻 들어라 닻 들어라
동정호리가귀풍 洞庭湖裏駕歸風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至菊叢 至菊叢 於斯臥
범급전산홀후산 帆急前山忽後山
머리가 하얗게 센 늙은이가 갯가에 산다
물에 사는 것이 산에 사는 것보다 낫다
아침에 조수가 나가고 저녁 조수가 들어온다
배를 의지한 어부가 한 어깨가 높다
푸른 줄 잎사귀 위에 시원한 바람이 인다
붉은 여뀌꽃 핀 옆에 백로는 한가하다
동정호 안에서 돌아가는 돛단배를 몰아간다
돛이 앞산을 급히 지나니 벌써 뒷산이로구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