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리스파이스를 처음 만들던 시절, 그때 열렬하게 사랑했던 밴드들은 이상하게도 맨체스터 출신이 많았다. 스톤 로지즈와 함께 맨체스터 열풍 4인방에 속했던 샬라탄즈, 모리세이와 쟈니 마를 배출한 스미스, 조이 디비젼의 아픔을 딛고 부활한 뉴 오더 등등... 한 도시에서 이 많은 밴드가 나왔어? 싶을 정도로 대단한 이름들이 줄줄 이어진다. 나를 밴드의 길로 이끌어 준 고향 같은 존재들이다. 그래서 아련함과 동시에 어딘가 서글픔 같은 색채가 덧입혀져 있는 음악이기도 하고.
그런데 실로 오랜만에 그런 비슷한 감정을 느끼게 해준 밴드가 있는데, 그 주인공은 맨체스터도 서울도 아닌 부산 출신의 “검은잎들”이라는 팀이다. “아니, 이 친구들을 어쩌면 좋지?” 두번째 그리고 세번째 곡이 흐를 때 쯤 입에서 새어 나온 탄식 같은 말이었다. 90년대 초반에 만약 밴드를 만들면 이런 걸 해보면 좋겠다 생각했던 음악을 하는 요즘 신인 밴드라니, 이 친구들은 대체 어느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인가? 징글쟁글 청아하게 돌아가는 기타 아르페지오, 이거 혹시 과거의 내가 친 건가 싶을 정도로 익숙한 베이스 라인, 그리고 모리세이를 연상시키는 다분히 문학적인 가사까지, 그 시절을 기억하는 “모던 소년 소녀”들에게 알레르기처럼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키게 해줄 요소들로 가득했다. 그래서 반가웠고 동시에 서글펐다.
“그래, 밴드란 건 원래 이런 거였어... 트렌드도 남들 취향도 신경 쓸 필요 없는, 그저 내가 좋아하는 것을 밴드에서 실현시켜 보고픈 그 마음, 그 강렬한 욕망이면 되는 거였어...” 어쩌면 당연한 진리를 검은잎들의 앨범을 들으며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요즘 인디씬에서 나오는 음악들, 미끈하고 실력있고 잘하는 건 알겠는데, 너무 잘 다듬어져 있어서 그게 좀 아쉬웠다고나 할까. 그런데 간만에 이런 날것을 들고 나온 친구들이 있어서 반가웠다.
앨범을 한장 다 듣고 나니 멤버들이 과연 어떤 사람들인지도 궁금해진다. 만나서 좋아하는 밴드가 뭔지 물어보고 싶고, 작업할 때 어떤 식으로 진행하는지도 구경하고 싶어진다. 누군가의 조언? 그딴 거 듣지 말기를. 요즘엔 이런 악기 정도는 써줘야지, 요즘엔 이런 사운드가 대세야, 그런 말에 귀 기울이지 말기를. 그냥 썅마이웨이로 부디 자신의 길을 가기를.
델리스파이스의 “항상 엔진을 켜둘게”에는 다음과 같은 가사가 나온다
“항상 듣던 스미스를 들으며 저 멀리로 떠나자”
스미스 말고 검은잎들을 들으며 그들의 고향인 부산 바닷가로 떠나고 싶어 진다. 내가 느낀 아련함과 서글픔의 정체를 확인하고 싶어서. 그곳에서 30년 전 우리의 모습, 모던 소년 소녀들의 호기심 가득한 눈동자를 발견하게 될까 기대하고 싶어서.
윤준호 (델리스파이스) ....
![](http://i.maniadb.com/images/btn_back.gif)
![](http://i.maniadb.com/images/btn_more.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