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윤경 4집 [觱篥古樂]은 한반도의 전통 관악기 피리로 연주되어 온 음악에 내재한 특성을 재구성하여 만들어진 작품이다. 진윤경의‘觱篥古樂’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고악’이다. 그에게 古樂’이란 20세기 이전의 전통음악의 원형질적인 존재 방식을 의미한다. 古樂’에 대한 문제의식은 그가 수년 동안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얻어진 것이다. 애초 경계를 나눌 수 없었던, 하나의 음악이었던 풍류음악이 20세기에 들어서서 제도적 차원에서 정악과 민속악으로 분리, 고착되면서 전통음악의 특유의 자유로운 파생 및 형성 논리를 잃어버린 것에 대하여 의구심이 생겼던 것이다. 그는 21세기 한국전통음악에 산재된 고민을 논문뿐 아니라 음악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였으며, 장기간의 음악작업을 통해 완성된 4집 [觱篥古樂]을 통해 그 의미를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이소영 글 일부 발췌
Jin, Yun-kyong 4th Album [Korean traditional songs of PIRI]
The PIRI is a Korean double reed instrument, used in both the folk and classical (court) music of Korea. As Korean piri player and scholar, Jin consistently raised a question "What is true Korean traditional features?" This Album will be chance to meet Korean traditional PIRI music of today by young traditional young musician!
[Staff]
장르/ 국악, 월드뮤직
프로듀서/ 진윤경
제작/ 성주문화기획
녹음 / 이경섭, 박홍준, 김창환
믹싱/ 김창환
마스터링/ 김창환
레코딩스튜디오/ 떨기나무C&M, 우리음악공작소 엮음소리
배급 유통/ 프로덕션 고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