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각적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음악을, 사람들이 많이 찾는 음악을 만들어보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유튜브의 조회수, 음원사이트의 시청률, 음반 판매 수익이 저의 목표가 됩니다. 고등학교 때 성적표에 찍힌 그 숫자에 제 인생의 의미를 걸었던 것처럼, 제 노래의 의미도 고작 그 숫자에 종속되어버립니다. 등수 하나에 일희일비했던 것처럼 조회수와 팔로우수에 저의 기분이 달라질 것만 같습니다.
아무리 계산기를 두들겨도 이 세상에서는 카코포니가 음악을 계속해서 만들어야 할 근거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모든 공식과 모든 지표가 저에게 음악을 하지 말라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음악을 계속 만들기로 합니다. 제 목소리를 내기로 합니다. 제가 그 길을 걸어야 함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저는 제 안의 목소리는 무시한 채, 타인들의 말에만 나를 움직이곤 했습니다. 입시 준비를 하면서는 수개월 동안 생리를 하지 않았고, 배와 팔에 참을 수 없는 두드러기가 올라오고, 위경련이 이따금씩 찾아왔습니다. 연애를 하면서는 살이 7kg가 빠지고, 먹은 것을 다 토해냈고, 밤마다 온몸에 경련이 일어 벌벌 떨었습니다. 상대방에게 언제나 미안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도 이 정도는 원래 다 견뎌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이 말하는 성공한 ‘인간’과 참다운 ‘여성’이 되기 위해서 내가 파괴되는 것은 당연했기 때문일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주저앉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제 자신을 조금이라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저와 언제나 함께 있어주던 이소라의 목소리와, 짐 캐리의 얼굴과, 지브리의 이야기 덕분이었습니다. 그 위로는 너무 강렬하고 분명했기 때문에, 거의 명령처럼 저에게 찾아왔습니다. 그들과 함께하는 순간에서 만큼은 언제나 진정한 해방을 만끽했습니다.
그렇게 저는 그들이 저에게 주었던 해방을 기억하며, 음악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아직 파괴되지 않는 내 안의 나와 그 작품들 사이에 길이 자라났을 때, 저는 새로운 세계로 걸어 나올 수 있었습니다.
이 작품을 준비하는 동안 한 친구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제 욕심일 순 있겠지만, 그 누구도 타인이 준 상처로 인해 죽음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당신은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당신 안에 있는 힘을 믿으세요. 당신이 남을 위해 살았던 것처럼 이번에는 당신을 위해서 숨을 쉬세요. 당신이 지금 느끼고 있는 그 길이 바로 당신이 걸어야 할 길입니다. 발걸음의 무게가 무거웠던 만큼 당신의 길은 빛날 것입니다.
아, 나는 그릴 수 있어요. 그 길 위의 당신은 눈물이 날 만큼 아름다워요.
나는 당신과 함께 걸을 이 길이 기대가 됩니다. 제가 기다리고 있을게요. 제 음악은 언제나 당신과 함께 걸을게요. 천천히, 하지만 확실하게. 그러니 부디 용기 내 주세요. 용기를 내어 다시 살아주세요. 이 소중하고 찬란한 삶을.
김민경, 그리고 카코포니 드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