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르게 하는 음악으로도 서울살이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꼈었는데 음악도 서울도 버거워지더니 감사한 마음이라곤 이미 오래 전의 것, 멀리 서서 바라보는 예쁜 뻥처럼 되어 있었다. 단지 해오던 일을 할 뿐, 누구도 짊어지운 적 없는 책임감으로 스스로와의 싸움에만 포커스를 두고 외부에서 보내주는 힘은 오히려 함정인 것처럼 대했다.
어쨌든 이어나가기만을 위해 얼마 전 올해에도 첫 공연을 했다. 다른 것보다 스스로 자연스러운 마음으로 다녀오는 것이 가장 큰 목표였어서 그 마음을 이래저래 준비해둬봤지만 결국엔 또 무대에서 보이지 않는 무언가와 싸우듯 긴장과 아닌 듯함을 오가며 불편함을 뿌리고 내려왔다. 찾아와 준 관객분들이 오히려 찾아왔던 게 미안했겠다 싶을 정도로 나는 나를 빤히 드러내 놓고 숨기에 바빴다. 다른 신경을 쓰고 싶지 않아 나에게만 집중하려 했던 것이 서로를 갈 곳 없이 만들었던 것 같기도 하다. 올해도 이럴 셈인 건지, 후유증이 오래갔다.
이렇게 불편해하며 할 이유가 뭘까, 하다가 늘 그렇듯 하고 있는 작업만큼은 끝내자는 결론이 나서 다시 스스로의 질문은 일단 덮어두고 마음 어딘가에 지니고만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오기로만 만들어진 이유로는 도저히 자연스럽고 편한 자세를 못 하겠는 것이었다. 음악이 이유였던 서울생활이었는데, 억지로 음악을 한다는 사실이 결국 나,를 자꾸 멀리 낯설게 밀어냈다. 그렇게 스스로를 어디에도 있지 않은 이방인으로 만들어가면서 하루 하루 돌이킬 수 없이 꼴사나워지고 있었다. 그래서 가만히 앉아 미뤄둔 실패감과 슬픔을 잔뜩 마셨더니 해방감이 살짝 불어왔다. 드디어 그토록 다시 원하던, 내 꼴을 마주보게 된 상황인 건가?
마음을 뒤적이며 여러 나를 끄집어내고 어질러왔는데 고마움으로 버티는 어설픈 쪼다가 드디어 제 옷을 입은 게 느껴졌다. 그러면서, 그렇기에, 이런 나에게 찾아온 마음과 상황에 진심어린 고마움이 일렁이는 듯 했다. 그 고마운 마음들을 누려야 자연스러운 에너지를 만들어낸다는 것과 그 누림을 보답하려는 마음이야말로 정확하게 바퀴모양을 하고 있었다는 게 기억났다.
2021. 2 김수아
[라이너노트]
고개를 조금 숙이고 말해본다. 고개를 들고 말하면 허공에 흩어져버릴 것 같아서. 큰 소리로 말하면 머물지 않고 도망가버릴까 봐서. 어쩌면 잘 들리지도 않을 나지막한 소리로. 도마.
어감이 좋아서 쓰기로 했다는 이름, 도마. 도마 덕분에 우리는 ‘도마’라는 말이 가지고 있던 부드럽고 따뜻한, 유쾌하고 애틋한 질감을 비로소 발견하게 되었다. ‘하고 싶은 말을 닮은 말이 너무 많아서’, 그 모든 말을 대신해서 말해본다. 빗방울 같았던 그 이름. 도마.
꿈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 잠에서 깨는 순간과 잇닿아 있는 그 끝을 우리는 비교적 선명히 알아챌 수 있다. 하지만 꿈이 시작되는 순간은 안개 속에 서 있는 것처럼 모호하고 흐릿하다.
도마가 돌아왔다. 도마가 돌아왔다니. 꿈인가? 꿈일 것이다. 확인하듯 말하는 게 아직도 너무 힘들지만, 도마는 우리 곁을 떠나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로 가버렸으니까. 도마가 가고 난 뒤 오랫동안 그 사실이 믿기지도 실감이 나지도 않았다. 망원동 골목을 걷다 보면 어느 모퉁이에선가 불쑥 마주칠 것 같았고, 주말 저녁 상수동 제비다방에 들르면 지하의 작은 무대에서 노래하는 도마를 볼 수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너 가고 난 뒤 난 눈물도 안 나 가만히 앉아 있’다는 도마의 노래처럼 가만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을 뿐이다. 그러니 도마가 돌아왔다는 건 꿈일 것이다. 꿈이어도 좋다. 벌떡 일어나 ‘멀리서 달려오는 두 팔’이 되어 맞이하고 싶은 기꺼운 꿈. <도마>가 돌아왔다.
<도마>는 <도마0.5>와 <이유도 없이 나는 섬으로 가네>에 이은 도마의 세 번째 음반이다. 앞선 두 음반이 도마와 세계의 만남 혹은 도마가 세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마주하게 된 감정들을 그리고 있다면, 2집 <도마>를 들으면 자신의 내면 풍경을 들여다보는 도마의 모습이 떠오른다.
앨범의 전반부인 [잠든 마음]과 [서울], [거리의 거리]를 지나 [웅크리고 있는 게 편했다]를 통해 도마는 서울살이의 쓸쓸함과 인간관계의 고단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노래하는 것이 좋고 음악이 좋아서 올라온 서울에서의 삶. 즐거움만 있는 것은 아니었겠지만 도마는 늘 밝고 유쾌해 보였다. 그 뒤에 자리하고 있던 쓸쓸함의 크기에 대해 굳이 먼저 물었던 적 없는 나는, 이 곡들을 들으며 비로소 그 크기를 짐작해볼 수 있었다. 이 지독하게 쓸쓸하고 아름다운 곡들을 지금에 와서 안아준다고 해서 위로가 전해질 순 없다는 사실이 아프다. 그렇다면 그 아픔까지도 끌어안고 가던 길로 가야지. 그것이 도마가 알려준 방법이다. ‘사랑을 하는 내 마음도 못 미더워 불을 끄고 죽어 있었다’고 할 만큼의 아픔을 도마는 ‘아무도 모르는 춤을 추’며 가던 길로 가는 것으로 극복한다. 아니, 극복이 아니더라도 그냥 그러기로 한다. 알아주는 이가 없더라도 절망 속에 웅크리고 있기보단 다리 저편으로 건너가는 편을 택한다. 거기엔 네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막연하지만 상쾌한 희망을 품고서.[아무도 모르는 춤을 춘다]
비 내리는 풍경 속에서 빗소리를 듣던 어느 순간을 떠올리며 어떤 말로 그 순간의 아름다움을 잘 담아낼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즐거움. 그 즐거움을 도마가 좀더 오래 누릴 수 있으면 좋았을 텐데. 만약 그랬다면 얼마나 많은 아름다운 순간을 우리에게 전해줬을까. 도마의 화양연화는 아직 오지 않았다. 미래에 있다. 만약 추억할 만한 과거였다면 좀더 분명한 말들로 표현했을 것이다. 하지만 도마는 ‘하고 싶은 말을 닮은 말이 너무 많아서’ 어떤 말이 적당할지 고르는 중이었다. 빗방울을 질투할 정도로 그 아름다움을 담아내고 싶어했다.[화양연화]
도마. 항상 먼저 마음을 열고 다가와줬던 사람.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러웠던 사람. 기쁠 땐 어린아이처럼 기뻐하고 화날 땐 아주 분명하게 화낼 줄 알았던 정직하고 솔직한 사람. 기분이 내킬 땐 훌쩍 떠났다가 또 어느새 친구들 곁 자기 자리로 돌아오던 자유로운 사람. 도마는 그런 친구였다. 기꺼이 함께 길을 잃어도 좋은, 어디로든 함께 흘러갈 수 있는 친구. 이제는 눈을 감아야 만날 수 있게 된, 사랑하는 친구. 꿈이어도 좋으니까, 겨울이 오고 눈이 내리면 우리 눈감고서 만나자.[겨울 발라드]
도마가 남겨둔 <도마>라는 세계
도마 2집 <도마>는 그가 남기고 간 작업을 도마의 다른 멤버인 거누가 이어받아 마무리해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누군가 남겨두고 간 꿈을 이어받아 완성된 작품으로 만드는 과정엔 얼마만 한 고민과 책임감이 필요한 걸까. 거누는 그 큰 짐을 기꺼이 떠안아 끌고 왔다. 모르긴 해도 팀의 리더이자 친구인 도마의 작업을 부족함 없는 작품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부담이 굉장히 컸을 것이다. 멋진 앨범으로 <도마>라는 세계를 완성해낸 거누에게 감사와 박수를 보낸다.
우리에겐 도마와 함께할 ‘또 다른 많은 시간이 필요했’는데. 도마는 너무 일찍 떠나버렸다. 그 사실이 안타깝고 사무치는 만큼 우리는 이 앨범 <도마>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것이다.
한잔의 룰루랄라 | 이성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