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천수 (대금 독주곡)
대금 독주곡 헌천수는 무용반주음악과 왕궁의 연회 등에서 연주되는 삼현육각의 하나이다. <긴염불>, <관악염불>이라고도 한다. 관악기의 독주곡으로 자주 사용되고 단소와 생황 또는 단소와 양금의 이중주로 연주되기도 한다. 헌천수의 선율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첫 부분은 원선율로 연주하지만 반복부분인 두 번 째 선율 부분은 한 옥타브 올려서 연주한다. 이와 같이 한 옥타브 올려서 연주하는 부분을 ‘쇠는 부분’이라고 한다.
평조회상
<평조회상>은 <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조옮김하여 만들어진 곡이다. <영산회상>은 AD1680년 이후 성악곡에서 기악곡으로 변화하여 여러 파생곡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평조회상>이 출현한 것으로 생각한다. <평조회상>은 다른 명칭인 <유초신지곡> 또는 <취태평지곡>이라고도 부른다. <평조회상>은 대규모의 관현악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고, 첫 곡인 <상령산>부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마지막 곡인 <군악>까지 모두 8곡의 모음곡이다. 악곡의 속도는 이른바 <느림-보통-빠름>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전체적 악상은 유려함을 보이고 있는 곡이다.
Heoncheonsu
Heoncheonsu, a solo daegeum piece, is derived from Samhyeonyukgak, which is performed for dance accompaniment and at royal banquets. It is also called Ginyeombul or Gwanakyeombul. It is often used as a solo piece for wind instruments and is sometimes performed as a duet of danso (a short vertical end-blown pipe) and saenghwang (a mouth organ) or danso and yanggeum (a dulcimer). The melody of Heoncheonsu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played using the original melody, while the second, which is a repetitive part, is played an octave higher. The section played one-octave higher is called the “soeneungarak” meaning “melody in the higher range.”
Pyeongjohoesang
Pyeongjohoesang is a piece created by transposing Yeongsanhoesang down a perfect 4th. Yeongsanhoesang has changed from vocal to instrumental music since 1680, and several derivative pieces have developed. It is thought that Pyeongjohoesang appeared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Pyeongjohoesang is also known as Yuchosinjigok or Chwitaepyeongjigok. Pyeongjohoesang is often performed by a large-scale orchestra and is a suite of 8 pieces: “Sangnyeongsan,” “Jungnyeongsan,” “Seryeongsan,” “Garakdeori,” “Sanghyeondodeuri,” “Yeombuldodeuri,” “Taryeong,” and “Gunak.” The tempo of the pieces proceeds “slow-moderate-fast,” and the overall mood is leisurely and elega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