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노래하는 포크 듀오’라는 이들의 소개를 처음 접했을 때 조금 별스럽다 생각했다. 아니, 모든 노래가 다 그렇지 않을까? 이야기가 아닌 음악이 어디 있다고… 하지만 문소문의 음악을 계속 따라가다 보니 결국 내 생각이 짧았음을 깨닫게 되었다. 단지 아름다운 선율의 영감을 운율있는 이야기(실은 그 자체도 이야기보다는 음악인)로 전한다거나 스토리텔링의 형식을 빌려온 사운드라는 의미가 아니었다. 굳이 설명하자면 이들의 음악은 소리로 구현이 된 이야기이자 소리를 찾아가는(혹은 음가를 얻어가는) 이야기의 여정이다.
몇 년 전, 이들의 첫 조우가 빚어낸 결과물은 지나칠 정도로 의욕적이고 실험적이었다. 첫 곡은 심지어 웹사이트의 이름이었고, 그 웹사이트는 소름 끼치는 이야기를 여는 포탈이었으며 (여전히 그 이야기는 모든 면에서 유효하다), 앨범 속 모든 이야기들은 암호와 수수께끼처럼 난해했다. 이야기는 넘쳐흐르고 음악은 모든 방향으로 격렬하게 달려가고 있었다. 물론 그것도 그대로 좋았다. 카코포니가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를 들려줄 때와는 또 다른, 거누와 만들어낸 어울림이 그대로 퍽 매력적이었다.
두 곡이 공개되었을 뿐이지만 문소문의 새로운 에피소드들은 전혀 다른 양상으로 펼쳐진다. 가장 큰 차이는 음악의 긴장감과 질감이다. 얼핏 들어도 많이 느슨해지고 따뜻해졌다. 전작이 가진 서늘하고 괴팍한 느낌과는 사뭇 다르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흥미로운 것은 여유롭고 자연스러운 가운데 음악의 밀도가 성겨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음악의 논리는 오히려 치밀해졌고, 요소요소들이 그 나름의 이유로 꼼꼼히 배치되거나 의도적으로 배제되었다.
첫 곡 <시간을 건너, 시간을 돌려>는 사랑의 영원성에 대한 질문 혹은 의문에 관한 이야기다. ‘건너'가 미래로의, ‘돌려’가 과거로의 방향성을 나타내지만, 그 본질은 같다. 시간의 불가역성을 깨부숴 영원성을 증명하는 사랑이라는 테마에서 문득 <시간을 달리는 소녀>나 <사랑의 은하수>같은 영화들이 스치기도 했지만, 엉뚱하게도 나는 사랑이 중력으로 규정되는 차원을 뛰어넘는 열쇠가 되었던 <인터스텔라>가 떠올랐다. 카코포니의 목소리가 불안섞인 질문이라면 거누의 목소리는 담담한 확신의 대답이다. 길지 않은 곡이지만 사운드의 디테일을 통해 가사의 메시지가 빈틈없이 구현된다. 곡의 초반에 양쪽으로 떠돌던 소리가 마침내 하나로 모인 후 유니슨으로 연출된 후반부의 보컬은 시공의 한계를, 혹은 사람과 사람의 보이지 않은 장벽을, 극복해 같은 마음이 된 두 사람의 환희를 상징한다.
이어지는 <새로운 세계>는 이 더블싱글이 치닫는 궁극의 이야기다. 도약과 초월을 통해 사랑의 힘을 확인한 그들은 마침내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한다. “비슷하고 어긋나 / 펼쳐지는 그 너머의 세계 / 아 둘이고 하나일 수 있어” 에 담긴 너무 당연하지만 놀라운 깨달음은 그들을 말할 수 없는 환희와 행복의 마음에 젖게 만든다. 그리고 그 감정의 밀도는 남들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강력한 마그네틱 필드처럼 하나의 ‘장(場)’을 형성한다. 그래서 그들이 발견한 ‘새로운 세계'는 물리적이면서 동시에 영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이 곡은 녹음 시 여러 테이크를 거치지 않았고, 최소한의 음향효과만을 활용해 그들의 감정 그대로를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유독 도드라지는 것은 후반부를 우아하고 따뜻하게 장식하는 첼로의 소리인데, 우연일지 몰라도 문학적으로 첼로가 상징하는 것 역시 행복과 안녕이기도 하다. 두 남녀는 ‘새로운 세계'의 발견을 외치지만 과연 완전히 고립된 공간에서 그 행복은 객관화될 수 없다. 결혼식의 들러리처럼, 축복해주는 친구처럼, 그 행복을 지켜봐 주는 누군가의 시선, 첼로의 그윽한 저음이 그 둘을 그렇게 감싸 안아주며 그 ‘발견'의 증인이 되어준다.
문소문은 ‘이야기를 노래하는 포크듀오'라는 의미의 또 다른 결을 찾아냈다. 어디선가 가져오거나 꾸미지 않아도 되는, 설정이나 비유가 없이도 풍성할 수 있는 이야깃거리를 발견한 것이다. 덕분에 문소문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가장 적은 것으로 가장 많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게 되었다.
김영대 (음악평론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