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백만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
국가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정악 이수자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 고법 전수자
경인교육대학교 부설 한국공연예술연구소 연구원
중앙대학교 한국음악이론학과 박사과정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역임
경북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출강
대금연주자 김백만은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2001),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2010),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2013)를 대금전공으로 졸업하였다.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을 역임 했으며,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 국가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정악 이수자,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 고법 전수자, 경인교육대학교 부설 한국공연예술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중앙대학교 음악이론학과 박사과정 재학중이고 경북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출강 중이다.
대금독주회로 2018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상령산, 청성곡, 관악영산회상', 2019년 한국문화재단 KOUS에서 ‘시조, 평조회상'연주하였다. 대금과 장구연주로 국내외 다수 연주 활동 중이다.
1. 향당교주 (鄕唐交奏)
향당교주는 향악기와 당악기의 혼합편성으로 합주하는 형태를 일컫는다. 악학궤범의 기록에 따르면 세종조 회례연의와 성종조 향악정재 보태평과 정대업 등에서 향악기와 당악기가 함께 연주된다. 그러나 조선후기 이후 그것은 20박에서 10박으로 변화된 관악영산회상 상령산의 변주, 즉 궁중 정재의 반주음악을 뜻하는 악곡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이 때의 향당교주는 초장 중 둘째, 셋째 장단을 생략하여 연주한다. 그러나 본 음반에서는 생략된 부분을 모두 복원 하여 총 14장단을 약 5분여 동안 연주된다.
대금 : 김백만 피리 : 윤형욱 해금 : 한갑수 장구 : 안성일
관악영산회상 (管樂靈山會相)
2. 상령산 - 3. 중령산 - 4. 세령산 - 5. 가락덜이 - 6. 삼현도드리 - 7. 염불도드리 - 8. 타령 - 9. 군악
영산회상의 원곡은 상령산으로서 불교적 가사를 지닌 ‘영산회상불보살’을 부르는 성악곡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17세기 후반부터)이후 성악곡에서 모음곡 형식의 기악곡으로 변화되었다.
영산회상은 크게 세 갈래의 악곡으로 나뉜다. 그것은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그리고 평조회상이다. 현악영산회상은 현악기가 중심이 되어 선비들의 풍류방에서 주로 연주하였고, 관악영산회상은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궁중 연회에서 주로 연주하였다. 그리고 평조회상은 관현악기가 대규모 편성으로 연주를 하였다.
관악영산회상은 '바른 정치가 만방에 퍼진다'는 의미인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이라고 불리며 현악영산회상 중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구성 되어있다. 음악적 특징으로는 피리가 대금, 해금과 대화하듯이 연주를 주고받는 연음형식, 불규칙한 장단, 장구의 합장단을 채편과 북편으로 나눠 치는 갈라치는 장단, 꿋꿋한 피리의 음색과 호기롭고 화려한 대금의 선율진행 등이 있다.
대금 : 김백만 피리 : 윤형욱 해금 : 한갑수 장구 : 안성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