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 제2집 (1977) | |||||
|
5:45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13:29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8:37 |
|
|||
| from 명창 흥보가 (2003) | |||||
|
9:27 |
|
|||
| from 명창 흥보가 (2003) | |||||
|
5:58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2:31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6:54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1:22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9:26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54:28 |
|
|||
| from 성창순 - 흥보가 (판소리 12마당 시리즈 하나) (2001) | |||||
|
13:48 |
|
|||
| from 성창순 - 성창순 판소리 모음 (1990) | |||||
|
5:59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6:28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5:24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8:08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13:56 |
|
|||
| from 명창 흥보가 (2003) | |||||
|
14:09 |
|
|||
| from 명창 흥보가 (2003) | |||||
|
4:03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3:37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1집 - 남도민요 제1집 (1976) | |||||
|
9:08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재래민요) (1990) | |||||
|
8:36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 |
|
|||
| from 단가 (1994) | |||||
|
3:06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후렴) 에야 데야 에야야하 에에헤 두견이 울음운다 두둥가 실실 너불러라
1. 너는 죽어 만첩청산에 고드름이 되거라 나는 주죽어서 아이가이가 봄바람 될거나 2. 어여 밭가에 섬섬섬 뽕나무 심어라 아버지 어머니 명주에 옷감이 분명타 (후렴) (간주) (후렴) 3. 너는 죽어 푸릇 푸릇 봄배추 되거라 나는 주죽어서 아이가이가 밤이슬 될거나 4. 우리집 뒤울에 뽕을 심어 뽕잎 돋아나면 처녀들 모이여서 아이가이가 누에를 먹여라 (후렴) |
|||||
|
2:37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2:37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1:57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2:16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1. 에헤 금수강산에 가을이 왔네 호남평야 만경들에
황금 나락에 메뚜기 날고 농악소리 멋들었네 비비비비 어깨춤이 난다 엉덩춤이 난다 얼씨구 좋다 절씨구 좋아 춤을 추자 장장구 소리 꽹가리 칭칭 하늘은 높고 황소는 잔다 참새는 짹짹 까치는 깍깍 시화연풍 우리 농가에 경사로구나 (간주) 2. 에헤 동산마루에 반달이 떳네 강산풍월 둥실둥실 화류선우에 노적을 싣고 나루마다 깃발나네 비비비비- 어깨춤이 난다 엉덩춤이 난다 얼씨구 좋다 절씨구 좋아 춤을추차 벚꽃놀음에 하늘은 높고 단풍은 붉고 국화는 정정 놋줄은 출렁 잉어는 펄떡 새새연년 우리 농가에 경사로구나 |
|||||
|
1:57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 |
|
|||
| from 단가 (1994) | |||||
|
3:15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10:04 |
|
|||
| from 속악 (1987) | |||||
|
11:47 |
|
|||
| from 성창순 - 성창순 판소리 모음 (1990) | |||||
|
- |
|
|||
| from 성창순 - 93 일요 명인 명창전 9 : 성창순 판소리 (실황) [live] (1994) | |||||
|
22:57 |
|
|||
| from 성창순 - 93 일요 명인 명창전 9 : 성창순 판소리 (실황) [live] (1994)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 제2집 (1977) | |||||
|
3:15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17:28 |
|
|||
| from 명창 춘향가 상 (2003)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1집 - 남도민요 제1집 (1976) | |||||
|
3:08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4:06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3:21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후렴)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음음음 아라리가 났네 1. 문경세재는 왠 고갠가 구부야 구부가 눈물이 난다(후렴) 2. 만나니 반가우나 이별을 어이해 이별이 되랴거든 왜 만났든고(후렴) (간주) 아리 아리랑ㅡ 3. 울너메 담너머 임 숨겨놓고 호박잎만 너울너울 날 속이었네 (후렴) 4. 만경창파 둥둥둥 뜬배 어기여차 어야디여라 노를 저라(후렴) 5. 노다가세 노다를 가세 저달이 떳다지도록 노다나 가세(후렴) |
|||||
|
- |
|
|||
| from 단가 (1994) | |||||
|
8:31 |
|
|||
| from 명창 흥보가 (2003)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 제2집 (1977)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1집 - 남도민요 제1집 (1976) | |||||
|
3:33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1집 - 남도민요 제1집 (1976) | |||||
|
2:09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3:54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4:08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 |||||
|
3:48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3:48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68:36 |
|
|||
| from 성창순 - 춘향가 (2002) | |||||
|
20:49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재래민요) (1990)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 제2집 (1977) | |||||
|
4:05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3:03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3:43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후렴) 옹헤야(옹헤야) 어절시구(옹헤야) 저절시구(옹헤야)
잘도논다(옹해야) 에헤 에헤(옹해야) 어절시구 (옹해야) 잘도논다(옹해야) 1. 앞집 금순(옹헤야) 뒷집 복순(옹헤야) 서로만나(옹헤야) 정담한다(옹헤야) 에헤 에헤 옹해야 어절시구 옹해야 잘도한다 옹해야 2. 철둑너머(옹해야) 메추리란 놈이(옹헤야) 보리밭에(옹헤야) 알을 낳네(옹헤야) (간주) 3. 정월보름(옹헤야) 달밝은밤(옹헤야) 줄달리기(옹헤야) 신명난다(옹헤야) 4. 구월시월(옹헤야) 보리심어(옹헤야) 동지섣달(옹헤야) 싹이난다(옹헤야) 5. 사월오월(옹헤야) 보리패니(옹헤야) 오월유월(옹헤야) 타작한다(옹헤야) 6. 타작끝에(옹헤야) 단오놀이(옹헤야) 동네머슴(옹헤야) 신명난다(옹헤야) 7. 칠월칠석(옹헤야) 은하수에(옹헤야) 까막까치(옹헤야) 다리놓네(옹헤야) 8. 일낙서산(옹헤야) 해떨어지고(옹헤야) 월출동령(옹헤야) 달솟는다(옹헤야) |
|||||
|
4:03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후렴) 휘여능청 버들가지 저 가지를 툭툭차라
중머리 1. 휘여능청 버들가지 청실홍실 그네매고 님과 날과 올려뛰니 떨어질까 염려로다(후렴) 2. 한번 굴러 앞이 솟고, 두번 굴러 뒤가 솟아 허공중천 높이뜨니 청상녹수가 발 아래라(후렴) 중중머리 휘여능청 버들가지 청실홍실 그네매고 님과 날과 울려뛰니 떨어질까 염려로다 3. 어찌보면 훨씬 멀고 어찌보면 가까운 듯 올라갔다 내려오며는 신선선녀 하강일세(후렴) 4. 송백수양 푸른가지 높이 높이 그네 매고 오락가락에 노니는 양은 우리 처녀들 놀음일세(후렴) 5. 창포장 꽃바람에 금박댕기도 너울 너울 그네를 뛰는 단오놀이 일년중의 한번일세(후렴) |
|||||
|
4:04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3:48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1:22 |
|
|||
| from 성창순 - 인간문화재성창순흥보가 (2002) | |||||
|
58:31 |
|
|||
| from 성창순 - 춘향가 (2002) | |||||
|
-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Vol.3 (1994) | |||||
|
- |
|
|||
| from 심청전 2 (공양미 삼백석) (1983) | |||||
|
- |
|
|||
| from 심청전 3 (선인들을 따라가는 심청) (1983) | |||||
|
- |
|
|||
| from 심청전 4 (소상팔경후 심봉사 눈뜨는 장면) [omnibus] (1983) | |||||
|
- |
|
|||
| from 심청전 1 (효녀 심청이 탄생편) (1983) | |||||
|
-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Vol.3 (1994) | |||||
|
69:36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1994) | |||||
|
1:04 |
|
|||
| from 국립국악원 베스트 (1995) | |||||
|
15:15 |
|
|||
| from 성창순 - 성창순 판소리 모음 (1990) | |||||
|
-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Vol.3 (1994) | |||||
|
-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Vol.2 (1994) | |||||
|
72:27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1994) | |||||
|
16:17 |
|
|||
| from 성창순 - 성창순 판소리 모음 (1990)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1집 - 남도민요 제1집 (1976) | |||||
|
6:47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5:09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재래민요) (1990) | |||||
|
5:26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낙양성(洛陽城) 십리(十里) 하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英雄豪傑)이 몇몇이냐. 절대 가인(佳人)이 그 누구냐. 우리네 인생 한번 가면, 저 모양이 될 터이니. 에라 만수(萬修). 에라 대신(大臣)이야. ............................... 저 건너 잔솔 밭에 솔솔 기는 저 포수야. 저 비둘기 잡지마소. 저 비둘기 나와 같이 님을 잃고 눈물 젖어 밤새도록 헤매노라. 에라 만수(萬修). 에라 대신(大臣)이야. 만수(萬修):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를 보필한 28 장수(將帥) 중의 한 사람으로 상제(上帝)님의 보호 신장이다. 낙양성(洛陽城):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가 수도로 삼은 곳이다. |
|||||
|
53:31 |
|
|||
| from 성창순 - 춘향가 (2002) | |||||
|
52:06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1994)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 제2집 (1977) | |||||
|
8:28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5:03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재래민요) (1990) | |||||
|
5:19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삼월 삼짇날 연자 날아들고
호접은 편편 나무나무 송림 가지 꽃 피었다 춘몽은 떨쳐 원 산은 암암 근 산은 중중 기암은 층층 태산이 울어 천리 시내는 청산으로 돌고 이골 물이 주루루루루루 저 골 물이 콸콸 열의 열 두골 물이 한테로 합 수 쳐 천방져 지방져 월턱져 구부쳐 방울이 버큼 져 건너 병 풍 석에다 마주 쾅쾅 마주 때려 산이 울렁거려 떠나간다 어디메로 가잔 말 아마도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있나 아마도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있나 새가 날아든다 왼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중에는 봉황새 만수 문전에 풍년 새 산고 곡심 무인처 춘림비조뭇새들이 농춘 화답에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든다. 말 잘허는 앵무새 춤 잘추는 학 두루미 소탱쑥꾹 앵매기 뚜리루 대천의 비우 소로기 소로기 수리루루리 루리루 에에에에 으으으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쑥꾹새가 울음 운다 저 쑥꾹새가 울음운다 저 쑥꾹새가 울음 운다 저 쑥꾹새가 울음운다 이 산으로 가며 쑥꾹쑥꾹 저 산으로 가며 쑥쑥꾹쑥꾹 어허이어허이 에이이이이이이어어 좌우로 다녀 울음은다 오색채의를 떨쳐입고 아홉아들 열두딸을 좌우로 거느리고 상평전 하평전으로 아주펄펄 날아든다 장끼 까투리가 울음운다 꺽꺽 꾸르룩 울음운다 저 무슨새가 울음 우는고 저 뻐꾸기가 울음운다 꽃피어서 만발하고 잎피어서 우거진데 청계변으로 날아든다 이산으로 가도 뻑꾹 저산으로 가도 뻑꾹 뻑뻑꾹 좌우로 날아 울음운다 저 무슨새가 우는고 야월공산 저믄날에 저 두견이 울음운다 이산으로 오며 귀촉도 저산으로가며 귀촉도 짝을 지어서 울음운다 저 꾀꼬리 울음운다 황금갑옷떨쳐입고 망류청정 버드나무 제 이름을 제가불러 |
|||||
|
3:36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1. 상주 함창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큰 아가
연밥 줄밥 내 따주마 우리 부모 섬겨주소 2. 문오야(문어야) 대전목(대전복) 손에 들고 친구 집으로 놀러가니 친구야 벗님은 간 곳 없고 조각배만 남았구나 3. 저기 가는 저 처자야 못줄이나 잡아다오 못줄이야 내 잡을게 새참이나 내다주소 4. 싸립문 대청문 열어놓고 손님내는 어딜갔소 무산일이 그리 많아 내 올 줄을 몰랐던가 5. 못 줄잡는 솜씨따라 금년농사 달렸다네 모심기는 농사치곤 칸 좀 맞춰 심어주소 6. 이 배미 저 배미 다 심어놓으니 또 한 배미가 남았구나 니가야 무슨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지 7. 능청능청 저 비랑 끝에 시누 올케 모여앉아 나두야 죽어 후생 가서 낭군부터 섬길라네 8. 고초 당초 맵다해도 시집살이만 못하더라 나도야 죽어 후생가면 시집살이 안할라네 |
|||||
|
3:48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 |
|
|||
| from 성창순 - 심청가 Vol.1 (1994) | |||||
|
-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 제2집 (1977) | |||||
|
1:39 |
|
|||
| from 성창순, 오정숙 - 남도민요모음 (1988) | |||||
|
67:43 |
|
|||
| from 성창순 - 춘향가 (2002) | |||||
|
10:46 |
|
|||
| from 명창 춘향가 상 (2003) | |||||
|
4:13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3:58 |
|
|||
| from 성창순 - 人間文化財 盛昌順 韓國民謠모음 (2002) | |||||
|
3:43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
5:23 |
|
|||
| from 성창순 / 전정민 - 남도민요 (신민요) (1990) | |||||
|
5:22 |
|
|||
| from 남도민요 Vol.2 (199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