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소금’, 그 아름다운 기억의 조각들
지금은 추억으로 남아있는 저 유명한 명곡 ‘샴푸의 요정’의 주인공 빛과 소금.
그 중에서도 팀 내에서 ‘소금’이라 자처하며(자처하진 않았는데^^;) 감미로운 목소리를 선사한 바 있는 ‘장기호’를 기억하는가?
요즘 들어 부쩍 주목 받고 있는 이른바 ‘7080 뮤지션’들’의 범주에 속하기엔 다소 젊은듯 하고, 현재 진행형으로 분류하기엔 또 추억(이)꺼리가 제법 많은 그런 뮤지션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의 이름 석자를 기억하는 사람은 결코 그를 잊을 수가 없다는 사실이다. 그만큼 그가 활동했던 90년대에 그와 그의 팀 ‘빛과 소금’이 대중에게 안겨준 임팩트는 상당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샴푸의 요정', '그대에게 띄우는 편지', '오래된 친구' 등 그야말로 보석과도 같은 힛트곡을 양산해내는 인기 밴드, 그리고 본인의 음악 활동과 더불어 다양한 창작 작업을 통해 대중에게 ‘가수’라기보다는 ‘뮤지션’으로 각인되기를 원했던 그였다. 그리고 영원한 추억일 것만 같았던 그가 이제 다시 일어선다.
‘kio(키오)’라는 새로운 아티스트 네임과 더불어, 이름만큼이나 새로워진 음악이 담긴 음반을 들고 말이다. ‘Chagall out of town’
Who Is kio?
장기호의 데뷔는 이제는 저 세상 사람이 되어버린 고 김현식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샴푸의 요정’ 등의 히트곡을 만들었던 싱어 송라이터 겸 베이시스트로 80년대 姑김현식이 조직했던 밴드 ‘김현식과 봄여름가을겨울’을 통해 음악계에 데뷔한 그는, 단순한 베이시스트로서가 아닌, 송 라이터로서도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내며 이후 ‘사랑과 평화’ 에서 활동하기도 했고 1990년대 초반부터 중반 사이에는 드디어 전설적인 듀오 ‘빛과 소금’으로서 음악계 전면에 등장하며 주목 받기 시작한다.
그다지 길지 않은 활동 기간 동안 ‘빛과 소금이 발표한 앨범은 무려 ‘다섯 장’. 결코 다작을 선호하지 않는 장기호의 음악 작업 성향을 보았을 때 결코 적지 않은 분량이다. 앞서 언급한 명곡 ‘샴푸의 요정’은 그의 음악적 성향이 가장 잘 드러나는, 90년대를 대표할만한 명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던 그는 ‘빛과 소금’ 해체 후 두문불출하는 듯 하며 간간이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앨범만을 발표하는 것으로 자신의 뮤지션으로서의 이력을 이어 나가는 듯 했다. 알고 보니 그는 그사이 대학교수가 되어 있었다.
서울예술대학 실용음악학과 작곡전공 전임교수. 현재 그의 공식적인 직함이다.
이미지 앨범, <chagall out of town>
이미지 앨범이란 원래, 영화와 연관이 깊은 개념의 음악 앨범의 한 종류를 말한다.
이를 테면, 해당 영화를 관람하기 전, 혹은 관람 후에 느낀 감상을 음악으로 표현한 음반의 한 형태인 것이다. 1998년 개봉했던 애니메이션 ‘이집트 왕자’가 좋은 예이다. ‘이집트 왕자’는 영화 본편의 OST 앨범 외에도, 가스펠 성향의 이미지 앨범과 컨트리 성향의 이미지 앨범 등 총 2장의 이미지 앨범이 제작되어지므로서 이미지 앨범의 효시로 평가 받은 바 있다. 국내에서도 몇몇 아티스트에 의해 시도된 바가 있다.
이렇게 장황하게 설명을 늘어놓은 이유는, 바로 ‘kio’의 앨범이 바로 이러한 이미지 앨범의 한 갈래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음대 교수로 재직 중이지만, 원래 ‘kio’의 대학 시절 전공은 ‘서양화’. 그리고 서양화가 중에서도 ‘chagall(샤갈)’을 유난히 좋아했던 그는, 본인이 그렇게도 흠모해 마지 않았던 샤갈의 미술 세계를 이번 앨범에 화려하게 옮겨 놓았다. 오죽하면 앨범의 타이틀마저 ‘chagall out of town’이라고 이름 붙였을까. ‘샤갈의 이미지 앨범’인 셈이다.
샤갈에 대한 미술사적 가치와 간단한 프로필, 그리고 샤갈과 장기호의 음악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넣어주시면 어떨까요?
샤갈의 그림만큼이나 이번 앨범은 다양하고도 세련된 트랙들로 가득 차있다.
때로는 강렬한, 그리고 때로는 수수한 이번 앨범의 장르는 ‘Adult contemporary(어덜트 컨템포러리)’. 이른바 성인 취향의 음악을 말한다. 그러나 단순히 성인들만을 위한 음악이라고만 한정 지을 수 없는 것이, 이번 앨범은 오히려 편안히 휴식을 취하면서 듣기 좋은 ‘Easy Listening(이지 리스닝)’ 쪽에 더 가까운 듯도 하다.
그만큼 앨범의 전체적인 흐름은 ‘자연스러움’, 그리고 ‘편안함’이다.
강한 베이스 라인이 앨범 전체에 흐르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이펙터를 사용해 음악에 이미지를 부여하는 시도를 하는가 하면 어떤 곡에서는 재즈가, 어떤 곡에서는 소프트한 록의 내음마저 풍기는 것을 보면, 그는 본 앨범을 통해 매우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시도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런데도 신기한 건, 어떤 곡에 이르건 청자는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는 사실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가사에 치중하기 보다는 테마를 떠올릴 수 있고 듣는 이로 하여금 상상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영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도 큰 특징.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앨범의 전체적인 코드는 ‘샤갈의 그림들’이다.
Kio는 말한다.
“어느 한 곡 샤갈의 그림과 연관성이 없는 곡이 없어요. 이를테면 저는 모든 곡 작업에 임함에 있어 샤갈의 그림들이 제게 준 영감들을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애썼습니다.
다시 말해, 이번 앨범은 ‘음악으로 표현한 샤갈의 포트폴리오’인 셈입니다.”
변화의 시대, 변치 않는 것 하나의 의미.
자고 나면 바뀌는 요즘이다.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는 이를 용납하지 못 하는 사회적 긍정적인 의미에서건 부정적인 의미에서건 뮤지션 역시 이러한 변화에의 요구를 받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kio가 서 있다.
대한민국 음반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댄스와 발라드, 혹은 어설픈 록 음악 이외엔 설 자리가 없는 듯한 작금의 현실에서, kio의 음반은 어떠한 평가를 받아낼 수 있을까? 하긴, kio가 그러한 평가에 일희일비할 뮤지션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이긴 하지만, 뭐, 괜찮지 않은가. kio같은 뮤지션이 한 명쯤 이 땅에 존재한다는 것이 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