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그게 쉽지가 않다. 나의 경험으로는 지나가길 바라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행복하길 바랍니다“ 이 곡을 쓰는 동안 우연히도 아내의 후배의 딸이 사회 초년생으로 첫 직장을 시작한 시기였다. 그녀는 두 달 동안 심한 따돌림과 상사의 질책으로 만신창이가 되어 퇴사했다. 어린 사회초년생의 상실감과 상처, 밑으로 흐르는 엄청난 불만과 원통함, 억울함 그리고 그녀를 키운 부모들의 분노를 매일 매일 목격했다. 어쩔 수 없는 무기력, 그러나 선택의 여지가 없는 냉혹한 현실.
고통스러운 기억들을 방어하기 위해 노래가 필요하다. 치유까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느 정도 방어는 할 수 있다, 현대인들이 갔고 있는 불확실한 분노, 어디서 온 지도 모르는 슬픔, 원망, 고통 이런 감정들은 막상 친구나 가까운 식구들과도 같이 나누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 않은 것처럼 가면을 쓰고 살다보면 마음은 더 깊은 상처로 고통 받게 된다. 그래서 비록 타인의 노랫말이지만 나를 위로해 주는 노래가 있다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한 사람이 세상에 나가 매일 치루는 작은 전쟁은 승자가 없다. 이기는 전쟁도, 전리품이 생기는 전쟁도 아니다. 그저 내 식구들 밥 먹고 살 수 있는 돈을 버는 일일뿐. 나를 뭐라 하는 사람도, 내가 뭐라 하는 사람도, 집에 돌아가면 그저 평범하고 힘없는 한 사람일 뿐.
“말 안 해도 다 알아요. 어떻게 살았는지. 사는 게 다 비슷하지요. 아프지 말고 식사 잘
하시고요. 행복하길 바랍니다.”
2021년 여름 정형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