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새로운 사조의 락 음악들이 대두되며 탄탄한 기본기보다는 정신과 의욕을 앞세운 많은 뮤지션이 등장했다. 그들은 자신의 위치를 땅속 깊숙이 이동시키며 그 위상을 축소시키고, 클럽문화라는 틀 속으로 스스로를 한정시켰다. 우연의 일치였는지 그렇지 않으면 필연적인 결과였는지, 198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소위 트로이카 시나위, 백두산, 부활에서 파생된 여러 밴드들, 그리고 블랙 신드롬과 블랙홀 등에 의해 짧지만 나약하기 이를 데 없던 대중음악계에 확실한 화인(火印)을 남긴 국내 헤비메틀의 공유 대상이 일반인에서 특정 매니아 층으로 축소 된 것도 바로 이 시기였다. 그리고 살아남은 뮤지션들은 가죽 옷과 쇠사슬, 통굽 부츠를 벗어 던지고 앞서 이야기했던 한정된 틀 속에서의 어색하고 불편한 동거에 들어간다. 하지만 이는 이제 막 태어난 미숙아들이 수용된 인큐베이터에, 건강한 육신을 가진 활발한 영혼들의 입에 인공호흡기를 씌워 함께 입원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1990년대 중반 이후 자의반 타의반으로 자생력을 뺏겨버린 헤비메탈은 수많은 대중을 호령하던 예전의 모습을 좀처럼 찾지 못하고, 그 출발점이나 음악적 특성과는 무관하게 협소한 공간과 한정된 수용층 안에서 안주하며 자신들의 입에 채워진 인공호흡기를 이제는 정말 생명 유지 장치로 사용해야 할 처지를 맞은 듯 보였다. 꾸준하게 활동하던 밴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튜닝 음이 일반인들의 귀에 들리기에는 그 소리가 너무도 작았다. 1990년대 후반 등장한 밴드들은 이렇듯 스스로를 구속한 원죄 속에서 그 출발을 맞이했고, 1998년 8월에 결성된 밴드 원(WON) 역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하지만, 원은 주어진 현실의 벽을 탓하고 주저앉기 보다는 지하의 클럽으로 옮겨진 무대를 오히려 자신의 확실한 활동 거점으로 삼고, 한 주에 3회 이상의 공연을 소화해 내는 왕성한 스테미너를 보여주며 순식간에 국내 메탈씬의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다.
예전과 달리 일반인들에게 노출되기 어려운 환경에서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당시 PC 통신 동호회 회원수 15,000명이라는 숫자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 공연을 통해 흩어져 버렸던 팬들을 직접 찾아갔는지를 알려주는 좋은 지표라고 하겠다. 하지만, 결성 이듬해인 1999년, ‘무지개’가 수록된 첫 번째 앨범 [Rock Complex] 발표와 함께 쉼 없는 공연을 펼치던 이들은 2003년 이후 뚜렷한 활동을 벌이지 못했고, 2008년 두 번째 음반 [모래시계]를 발표할 때까지 2006년 컴필레이션 [Another World]에 참여한 이력을 제외한다면 그 시작에 비해서 너무나 축소된 활동을 보여줬던 것 역시 사실이다. 원 역시도 트렌드의 변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고, 고질적인 멤버의 문제 역시 활동에 발목을 잡은 이유였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정규 두 번째 음반인 [모래시계]는 여러모로 밴드에게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음반이었다. 9년 만에 발표되는 정규음반이라는 점 이외에도, 유동적이던 멤버의 라인업을 트윈 기타와 트윈 베이스라는 독특한 편성으로 확정시키며 자신들의 새로운 시도를 시험대에 올려놓는 음반이었기 때문이다.
출발선에 함께 서 있었지만, 지금은 각자의 길로 뿔뿔이 흩어진 예전의 동료들에게 다시금 손을 내미는 ‘모든 철새는 죽어서 페루로’를 비롯해 오래도록 준비했던 양질의 음원들이, 이번에는 발매 초반 앨범 자켓의 문제에 후반에는 다시금 찾아온 멤버간의 갈등으로 그 빛을 발하지 못했다. 하지만 원은 이에 굴하지 않고, 현 시대에 다소 사라져 가는듯한 정통 헤비메탈을 사랑하는 음악적 선택의 의지를 표현한 밴드명(Win Of New)의 의미와도 같이 2년이 지난 지금 또 한 장의 음반을 선보인다. 새로운 음반에서는 사혼과 이프리트에서 활동했던 기타리스트 이교형을 정식 멤버로 참여했고, 또 한명의 기타리스트 변세민과 드러머 이진호가 공석인 자리들을 메웠다. 특히 두 명의 기타리스트인 이교형과 변세민은 그동안 보컬리스트였던 손창현이 도맡았던 작곡에도 참여하며 보다 넓은 사운드의 스펙트럼을 펼쳐 보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