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장에서 김현철은 또 하나의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과거 자신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던 노래를 새롭게 꾸미는 기획이다. 이름은 ‘포크송 대백과’. 과거 집집마다 한 권씩은 있던 친숙한 악보집의 이름이다. 그 친숙한 이미지처럼 자신의 마음속에 남아있는 옛 노래를 새롭게 들려주고 싶은 바람을 담았다. 감수성이 가장 예민하던 시절 폭 넓게 들었던 1990년대 이전 음악이 대상이다. 그 보석 같은 노래들이 ‘포크송 대백과’를 통해 하나씩 새롭게 소개될 것이다.
어떤날의 음악만큼 그 시작에 어울리는 노래는 없다. 김현철의 오랜 우상이었던 밴드, 조동익과 김현철의 운명 같은 만남 이전 김현철은 이미 ‘어떤날 키드’였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처음으로 어떤날의 음악을 접했다. 그 음악은 새롭고 놀라웠다. 앨범의 첫 곡 ‘하늘’부터 마지막 곡 ‘오후만 있던 일요일’까지 모든 게 놀랍고 감동적이었다. 어떤날의 음악은 그동안 그가 들어온 가요와는 결이 달랐다. 감각적인 사운드와 여린 감성이 더해진 음악은 그대로 김현철의 마음으로 들어왔다. 그 가운데서도 ‘그날’은 특별했다. 어떤날의 모든 곡들 가운데 가장 ‘로킹’한 노래다. 조동익은 여린 목소리로 힘차게 노래하고 있고, 이병우의 기타 연주는 ‘헤비’하다는 생각까지 갖게 한다.
김현철은 이 로킹한 곡에 어울리는 목소리를 생각해냈다. 몇 년 전부터 권인하의 노래를 들으며 ‘그날’에 권인하의 목소리가 더해지면 어떨까를 생각하곤 했다. 자연스레, 또 당연하게 ‘포크송 대백과’의 첫 노래는 권인하가 다시 부른 어떤날의 ‘그날’이 됐다. 그 어떤 설명도 없이 권인하 특유의 ‘지르기’로 시작하는 노래는 샤우트를 더하고 더하다 마지막에 가 폭발한다. 김현철의 의도대로 권인하의 목소리와 함께 노래는 더 로킹해졌다. 김현철이 프로그래밍한 웅장한 사운드에서 조삼희의 기타 연주 역시 권인하의 노래와 보조를 맞추고, 또 원곡 이병우의 기타 연주에 대한 존중의 마음을 담아 길진 않지만 강렬한 솔로를 남긴다.
전체적으로 힘이 넘치는 이 사운드에서 김현철이 또 하나 생각한 건 원곡의 가사였다. “언제인지 난 모르지 하지만 다가오는 그날엔”이라 시작하는 노래 가사. 그리고 “뜨거운 태양이 떠오르고, 새로운 바람이 불 거”라는 희망의 메시지가 지금의 어려운 팬데믹 시대에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세대가 이 노래를 듣고 힘을 냈으면 하는 바람은 “수없이 다짐하고 또 허물어온 푸르른 꿈 위해 오늘도 조용히 일어나 혼자 걷는 너에게”라는 구절과 꼭 맞는다. “저 파란 하늘 위에 날으는 법을 배우는 작은 새”로 끝나는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는 또 이 새로운 기획의 시작과 완벽하게 조응한다. 자신의 시작을 거슬러 올라가는 이 소박한 기획은 작은 새가 되어 더 높고 넓은 곳으로 날아오를 것이다. (김학선/대중음악평론가)
김현철 - 포크송 대백과 Vol.1 ....
![](http://i.maniadb.com/images/btn_back.gif)
![](http://i.maniadb.com/images/btn_more.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