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산조·병창의 명인 수관(壽寬)의 아들이다.
1930년대 조선성악연구회에 참여, 기악부를 담당하면서 크게 명성을 떨쳐 그의 가락과 더늠이 음반에 취입되고 라디오방송도 하였다. 광복 뒤 국극사(國劇社)에 참여하여 창극의 재건에 힘썼다. 그의 가야금병창은 고음에서의 풍부한 성량, 익살스러운 재담과 표현동작으로 유명하였다. 《흥보가》 중 돈타령과 《심청가》 중 심청을 어르는 대목이 가장 뛰어난 더늠으로 정평이 나 있다. ....


|
INTRODUCTION가야금병창의 명인. 전라남도 보성(寶城) 출신.
가야금산조·병창의 명인 수관(壽寬)의 아들이다. 1930년대 조선성악연구회에 참여, 기악부를 담당하면서 크게 명성을 떨쳐 그의 가락과 더늠이 음반에 취입되고 라디오방송도 하였다. 광복 뒤 국극사(國劇社)에 참여하여 창극의 재건에 힘썼다. 그의 가야금병창은 고음에서의 풍부한 성량, 익살스러운 재담과 표현동작으로 유명하였다. 《흥보가》 중 돈타령과 《심청가》 중 심청을 어르는 대목이 가장 뛰어난 더늠으로 정평이 나 있다. .... ![]() ![]() MAJOR ALBUMSMAJOR SONGSRE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