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배뱅이 굿ㆍ회심곡 (2005)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배뱅이 굿ㆍ회심곡 (2005)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배뱅이 굿ㆍ회심곡 (2005)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배뱅이 굿ㆍ회심곡 (2005)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배뱅이 굿ㆍ회심곡 (2005) | |||||
|
- |
|
|||
| from 이은관 - 회심곡 (1995) | |||||
|
- |
|
|||
| from 이은관 - 회심곡 (1995) | |||||
|
- |
|
|||
| from 이은관 - 회심곡 (1995) | |||||
|
- |
|
|||
| from 이은관 - 회심곡 (1995) | |||||
|
- |
|
|||
| from 이은관 - 회심곡 (1995) | |||||
|
9:40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류 배뱅이굿 (2006)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 |
|
|||
| from 이은관, 김용만 - 이은관/김용만 창의 대결 (흥겨운 민요잔치) (1975) | |||||
|
7:26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류 배뱅이굿 (2006) | |||||
|
- |
|
|||
| from 이은관, 김용만 - 이은관/김용만 창의 대결 (흥겨운 민요잔치) (1975) | |||||
|
3:03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3집 (1982)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4:32 |
|
|||
| from 김옥심, 이은관 - 흥겨운 늴늬리가락 제2집 (1968)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 |
|
|||
| from 이은관 - 흥겨운 우리창 (제1집) (1977) | |||||
|
2:53 |
|
|||
| from 이은관 - '99년 이은관 창작소리 4 (1999)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신민요집 (2002) | |||||
|
2:42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창작 1집 (2007) | |||||
|
2:57 |
|
|||
| from 이은관 - '99년 이은관 창작소리 4 (1999)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신민요집 (2002) | |||||
|
-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1집 (1982)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1:28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류 배뱅이굿 (2006) | |||||
|
7:02 |
|
|||
| from 이은관, 박성현 - 이은관류 악보정립 (배뱅이 굿) (2010) | |||||
|
- |
|
|||
|
from 이은관 - 흥겨운 가락/창부타령/봄바람/신고산 타령 (1976)
얼씨구 좋다 멋드렀네 절시구 좋다 멋드렀네
오날날도 심심한데 타령 노래나 불러보자 무슨 타령이 들어가나 머리타령 들어간다 점잔하구나 번대머리 대골숙에는 낭자머리 종로네거리 까미머리 초가삼간이 더벙머리 시골처녀의 댕기머리 하이카라머리 하얀머리 지진머리 파마머리 보끈머리 떠꺼머리 고수머리 상고머리 곱쓸머리 상토머리 이런머리 저런머리 아무리 많어도 정신 좋은 머리가 제일이다 머리타령 들어가구 통통타령 들어간다 서울장안의 남대문통 서대문통 광화문통 원산의 고불통 아이어머니 젓통 건방진놈의 대갈통 밑인바람 나는통에 밥통 술통 간장통 벌통 꿀통 저금통 절구통 물통 다 팔어자기구 북통장구통치는 통에 통통 털어서 다털어 먹구 두통복통 알는통에 그지나 깡통이 웬말이드냐 얼시구두 잘한다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흥겨운 가락 (1997) | |||||
|
5:09 |
|
|||
| from 김옥심, 이은관 - 흥겨운 늴늬리가락 제1집 (1968) | |||||
|
-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1집 (1982) | |||||
|
2:03 |
|
|||
| from 박성현, 이은관 - 민요 한마당 (1996) | |||||
|
3:03 |
|
|||
| from 이은관, 신소희 - 민요집(매화타령, 사설난봉가) (2011)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6:14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서도민요 정통 배뱅이굿 (2012) | |||||
|
- |
|
|||
| from 서도민요 (1991) | |||||
|
6:15 |
|
|||
| from 이은관 - 서도민요 (1991) | |||||
|
- |
|
|||
| from 이은관 - 국악의 향기 10 - 서도 민요 선집 (2021)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4:00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회심곡 (悔心曲) (1994) | |||||
|
- |
|
|||
| from 이은관, 김용만 - 이은관/김용만 창의 대결 (흥겨운 민요잔치) (1975) | |||||
|
2:56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3집 (1982) | |||||
|
2:25 |
|
|||
| from 박성현, 이은관 - 민요 한마당 (1996) | |||||
|
1:52 |
|
|||
| from 이은관, 신소희 - 민요집(매화타령, 사설난봉가) (2011)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3:04 |
|
|||
| from 이은관 - '99년 이은관 창작소리 4 (1999) | |||||
|
3:16 |
|
|||
| from 양진희 - 양진희 신민요 (2000)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신민요집 (2002) | |||||
|
2:20 |
|
|||
| from 박성현, 이은관 - 민요 한마당 (1996) | |||||
|
5:27 |
|
|||
| from 김옥심, 이은관 - 흥겨운 늴늬리가락 제1집 (1968)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1:23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류 배뱅이굿 (2006) | |||||
|
4:20 |
|
|||
| from 이은관, 박성현 - 이은관류 악보정립 (배뱅이 굿) (2010)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10:38 |
|
|||
| from 김옥심, 이은관 - 흥겨운 늴늬리가락 제1집 (1968) | |||||
|
- |
|
|||
| from 이은관, 김용만 - 이은관/김용만 창의 대결 (흥겨운 민요잔치) (1975) | |||||
|
- |
|
|||
| from 이은관 - 흥겨운 가락/창부타령/봄바람/신고산 타령 (1976) | |||||
|
3:20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3집 (1982)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흥겨운 가락 (1997) | |||||
|
13:52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회심곡 (悔心曲) (1994) | |||||
|
23:52 |
|
|||
| from 이은관 - 2001, 이은관 창작소리 3 (1998) | |||||
|
- |
|
|||
|
from 이은관 - 흥겨운 우리창 (제1집) (1977)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 주소
1.강원도 금강산 일만이천봉 팔만구암자 유점사 법당 뒤에 칠성단 도두 뫃고 팔자에 없는 아들딸 낳아 달라고 백일정성 불공 노구에 정성을 팔고 타관객지 외로이 난 사람 네가 괄세를 마라 2. 정선읍네 물나들이 허풍선이 둥글대는 사시장천 물거품을 안고 비빙글 배뱅글 요리조리 배뱅글 돌아가는데 우리집이야 그 친구는 나가서 다시 돌아올줄을 왜 몰라요. 3. 네 칠자나 내 팔자나 고대광실 높은 집에 화문등요 보료 깔고 원앙 비취금에 훨훨 벗고 잠자기는 오초에도 영글렀는데 오다 가다가 석침단금에 노중 상봉이라도 할까 |
|||||
|
6:22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창작 1집 (2007)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 |
|
|||
| from 서도민요 (1991) | |||||
|
2:23 |
|
|||
| from 이은관 - 서도민요 (1991) | |||||
|
- |
|
|||
| from 한국전래민요 (경기민요, 남도민요, 서도민요) (2008) | |||||
|
- |
|
|||
|
from 이은관 - 흥겨운 우리창 (제1집) (1977)
※ (후렴) 아이고 데고나 성화로구나~
1. 연분홍 저고리 남깃동 소매 너입기 좋구나 내가 보기 좋구나 2. 가마채 잡고서 힐난지 말고 나 시집 간데로 멈살려 오려마~ 3. 나 시집 간데로 멈살려 오면 신던 버선에 벌받아 줌세나~ 4. 사랑한다고 애당초 말하지 봉채 받은걸 내 어찌 하리오~ |
|||||
|
5:16 |
|
|||
|
from "한국전래민요(경기,서도민요)3,4" (2006)
어화 세상 벗님네야
이내 한말 들어 보소 이수일을 배반하고 김중배를 따라가는 심순애를 아시는가 금강석에 눈어두어 참사랑을 잊어드니 그만 돈이로 불가구나 돈이야 귀하구나 돈이야 천하구나 무슨곳에 쓰는 돈과 뭐 하 복받을때 이곳에서는 받을 때에 받는 돈은 떳떳하기가 이기월라 돈으로 사랑 사고 사랑으로 돈을 구해 진정 어허허 덜잊었으니 그 마음이 좋을 손가 김중배는 양양 불러 심순애는 녹심 처녀 돈없어 사랑 잃고 돈없은 금훈제에 이 금세 야사야사라 아무 가거라 애지중지 금지 옥엽 목슴같이 사랑하는 심순애를 남의 아내가 되었으니 생각사로 동지어리 배고파로 어이라 이별이라 청주 벽면 호라레 울며 불며 생이별에 눈물은 비오듯이 원년은 불빛 같이 강신에 어린 달빛 미련 살으나니 눈물 고기 잡은 심순애를 억년히 떨치면서 순애야 말들어라 외국 유학이 좋다한들 조강지처 노래 바라 공부한들 소용이 있나 팔자에 없는 돈 운수에 은은하고 학문한들 소용이 있나 이수일이가 넉넉한거 그래도 대장부라 학교만 졸업하면 너하나야 목먹이고 너하나야 목 먹이랴 어영에 눈 어두어 마음이 눈을 흐렸으니 정신한번 가다듬어 다시한번 생각 해라 뿌리치는 수일 손목 와그그득득득 부여 잡고 심순애가 느껴온다 다시는 저피 나고 부모는 늙으시고 아들은 어린 딸이 금새 있는ㄹ로니 아니요 김중배가 이른 말이 조카 평생 시켜 주고 당신 외국 유학을 시켜 준다길래 오날 일이왠일이니 한번 용서를 못하시겠소 더 럽다 내친구야 천구 일심 중한임을 돈받고 바는 돈도 하나 마음도 하나 여자의 귀한 것은 절개가 으뜸인데 한몸으로 두 남편을 어이 섬겨 온단 말이야 나 어찌 할고나 |
|||||
|
17:38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창작소리 2 (2007) | |||||
|
- |
|
|||
| from 이은관 - 창작소리 (2007) | |||||
|
5:18 |
|
|||
|
from 한국전래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2008)
어화 세상 벗님네야
이내 한말 들어 보소 이수일을 배반하고 김중배를 따라가는 심순애를 아시는가 금강석에 눈어두어 참사랑을 잊어드니 그만 돈이로 불가구나 돈이야 귀하구나 돈이야 천하구나 무슨곳에 쓰는 돈과 뭐 하 복받을때 이곳에서는 받을 때에 받는 돈은 떳떳하기가 이기월라 돈으로 사랑 사고 사랑으로 돈을 구해 진정 어허허 덜잊었으니 그 마음이 좋을 손가 김중배는 양양 불러 심순애는 녹심 처녀 돈없어 사랑 잃고 돈없은 금훈제에 이 금세 야사야사라 아무 가거라 애지중지 금지 옥엽 목슴같이 사랑하는 심순애를 남의 아내가 되었으니 생각사로 동지어리 배고파로 어이라 이별이라 청주 벽면 호라레 울며 불며 생이별에 눈물은 비오듯이 원년은 불빛 같이 강신에 어린 달빛 미련 살으나니 눈물 고기 잡은 심순애를 억년히 떨치면서 순애야 말들어라 외국 유학이 좋다한들 조강지처 노래 바라 공부한들 소용이 있나 팔자에 없는 돈 운수에 은은하고 학문한들 소용이 있나 이수일이가 넉넉한거 그래도 대장부라 학교만 졸업하면 너하나야 목먹이고 너하나야 목 먹이랴 어영에 눈 어두어 마음이 눈을 흐렸으니 정신한번 가다듬어 다시한번 생각 해라 뿌리치는 수일 손목 와그그득득득 부여 잡고 심순애가 느껴온다 다시는 저피 나고 부모는 늙으시고 아들은 어린 딸이 금새 있는ㄹ로니 아니요 김중배가 이른 말이 조카 평생 시켜 주고 당신 외국 유학을 시켜 준다길래 오날 일이왠일이니 한번 용서를 못하시겠소 더 럽다 내친구야 천구 일심 중한임을 돈받고 바는 돈도 하나 마음도 하나 여자의 귀한 것은 절개가 으뜸인데 한몸으로 두 남편을 어이 섬겨 온단 말이야 나 어찌 할고나 |
|||||
|
- |
|
|||
| from 한국전래민요 (경기민요, 남도민요, 서도민요) (2008) | |||||
|
5:16 |
|
|||
|
from 한국민요전집 06 (2009)
어화 세상 벗님네야
이내 한말 들어 보소 이수일을 배반하고 김중배를 따라가는 심순애를 아시는가 금강석에 눈어두어 참사랑을 잊어드니 그만 돈이로 불가구나 돈이야 귀하구나 돈이야 천하구나 무슨곳에 쓰는 돈과 뭐 하 복받을때 이곳에서는 받을 때에 받는 돈은 떳떳하기가 이기월라 돈으로 사랑 사고 사랑으로 돈을 구해 진정 어허허 덜잊었으니 그 마음이 좋을 손가 김중배는 양양 불러 심순애는 녹심 처녀 돈없어 사랑 잃고 돈없은 금훈제에 이 금세 야사야사라 아무 가거라 애지중지 금지 옥엽 목슴같이 사랑하는 심순애를 남의 아내가 되었으니 생각사로 동지어리 배고파로 어이라 이별이라 청주 벽면 호라레 울며 불며 생이별에 눈물은 비오듯이 원년은 불빛 같이 강신에 어린 달빛 미련 살으나니 눈물 고기 잡은 심순애를 억년히 떨치면서 순애야 말들어라 외국 유학이 좋다한들 조강지처 노래 바라 공부한들 소용이 있나 팔자에 없는 돈 운수에 은은하고 학문한들 소용이 있나 이수일이가 넉넉한거 그래도 대장부라 학교만 졸업하면 너하나야 목먹이고 너하나야 목 먹이랴 어영에 눈 어두어 마음이 눈을 흐렸으니 정신한번 가다듬어 다시한번 생각 해라 뿌리치는 수일 손목 와그그득득득 부여 잡고 심순애가 느껴온다 다시는 저피 나고 부모는 늙으시고 아들은 어린 딸이 금새 있는ㄹ로니 아니요 김중배가 이른 말이 조카 평생 시켜 주고 당신 외국 유학을 시켜 준다길래 오날 일이왠일이니 한번 용서를 못하시겠소 더 럽다 내친구야 천구 일심 중한임을 돈받고 바는 돈도 하나 마음도 하나 여자의 귀한 것은 절개가 으뜸인데 한몸으로 두 남편을 어이 섬겨 온단 말이야 나 어찌 할고나 |
|||||
|
2:53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창작 1집 (2007)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2:23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서도민요 정통 배뱅이굿 (2012) | |||||
|
3:28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3집 (1982) | |||||
|
2:53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의 회심곡 (悔心曲) (1994) | |||||
|
2:29 |
|
|||
| from 이은관 - '99년 이은관 창작소리 4 (1999) | |||||
|
-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신민요집 (2002) | |||||
|
29:09 |
|
|||
| from 이은관 - 이은관 창작소리 2 (2007) | |||||
|
- |
|
|||
| from 이은관 - 창작소리 (2007)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1집 (1982)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11:59 |
|
|||
| from 이은관 - 배뱅이굿 전곡 (1994) | |||||
|
4:13 |
|
|||
| from 이은관 - 배뱅이굿 전곡 (1994) | |||||
|
11:42 |
|
|||
| from 이은관 - 배뱅이굿 전곡 (1994)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
- |
|
|||
| from 이은관 - 피리, 대금 경음악 (2009) | |||||
|
9:02 |
|
|||
| from 이은관, 박성현 - 이은관류 악보정립 (배뱅이 굿) (2010) | |||||
|
3:18 |
|
|||
| from 이은관, 김옥심 - 한국민요3집 (1982) | |||||
|
- |
|
|||
| from 이은관, 지화자 - 전통한국민요 1, 2 (201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