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브 씬이 국내에 첫발을 내딛던 90년대 말 한국으로 돌아온 가재발은 한국의 일렉트로닉 뮤지션들의 작품을 모은 컴필레이션 [Techno@kr]에 참여하면서 그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어 한일 합작 앨범인 [PLUR]시리즈를 통해 일본으로 진출한 그는 데뷔 곡 ‘말해봐’를 12인치 LP로 발매해 초판이 출신 일 주일 만에 매진되는 쾌거를 올렸다. 2000년 봄 일본의 대표적인 테크노 프로듀서 켄 이시이, 영국의 닉 슬레이터와 함께 성공적인 공연을 마친 가재발은 12월 데뷔 앨범 [O.N.DA]를 발표했다.
2002년 말 선 보인 2집 [Another One]은 좀 더 대중적인 데뷔 앨범에 비해 테크노 매니아들을 위한 과감한 도전으로 한층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미니멀하고 실험적임과 동시에 그루브를 지닌 사운드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한 [Another One]은 해외의 유수 프로듀서, 음악지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2004년 영국의 유명 테크노 전문 레이블 유카텍(Ukatech)으로부터 러브 콜을 받은 가재발은 진 리(Jin Lee)라는 아티스트 명으로 싱글 [Muul/ Maniac]을 발표한다. 한국인 테크노 프로듀서로는 최초로 영국 시장에 정식으로 데뷔를 한 가재발의 싱글은 유카텍의 창립 10주년 기념 10인치 스페셜 에디션으로 발매되었고 유럽의 3대 레코드 쇼핑몰인 Tune Inn Records에서 2주간 연속 차트 1위를 기록한다. 튠 인 레코드는 [Muul/ Maniac]을 일컬어 칼 콕스, 브라이언 젠츠, 아담 베이어, 마르코 카롤라와 같은 탑 디제이들의 서포트가 기대되는 힛 싱글이라 불렀고 가재발은 켄 이시이 이후 등장한 가장 극적인 동양인 프로듀서라는 평을 받았다.
대중적인 테크노 사운드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보여주고 있는 가재발은 2003년 또 다른 프로젝트 “바나나걸”의 이름 하에 [Banana Girl Chapter 1]을 발표한다. 첫 싱글로 커트된 ‘엉덩이’는 나이트 클럽가의 히트곡으로 기록되었고 네티즌들의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오인용(www.5p.co.kr) 사이트의 간판 시리즈 바나나 걸의 주제곡으로도 쓰였다. 또한 박지윤, G.O.D., 이박사, 이윤정 등 국내 대중 가수의 앨범 제작에 참여해 온 가재발은 영화 ‘몽정기’와 ‘파라다이스 빌라’, 그리고 수 많은 유명 광고 음악 작업을 펼치며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