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그는 하나음악의 조동익/장필순과 주로 음악작업을 계속 해나갔다. 장필순의 앨범을 통해 트리오 송라이팅 체제를 구축한 그는, 그로부터 장필순의 역작이자 명반 [너의 외로움이 나를 부를 때]에서 <스파이더맨>과 <빨간 자전거 타는 우체부>를, [soony6]에서는 <헬리콥터>, <동창>, <10년이 된 지금>을 만들어낸다. 또한 조동익의 [Movie]에서 <예예예>, <무더운 여름과 자전거 타기>, 이규호의 [Alterego]에서 <머리끝에 물기>의 가사를 담당하면서 탁월한 작사가로서의 면모를 계속 보여주게 된다. 그 사이 한동준과 권혁진 듀오 엉클(Uncle)의 [그대와 함께라면]에서는 <7년후>로, 이후 영화 [새드무비]와 나윤선의 [Memory Lane]에서는 <천사>로 작사 참여하였다.
1999년, 그는 갑자기 유학길에 오른다. 가기 전날까지 영화 [산책] 음악에 참여하던 그는 이튿날 홀연히 비행기에 올랐다. 유럽 최고의 명문 음악대학인 암스테르담 콘서바토리움(Conservatorium van Amsterdam)에 <어쩐지 먼>과 <외로운 이층집>으로 응시, 입학하게 되나 곧 자퇴한 그는 암스텔페인 한인학교에서 신영복 선생의 책을 가르치기도 하며 2년을 보내다 네덜란드에서 돌아온다.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얼마 후 그가 몸 담은 하나음악은 문을 닫게 되고 그는 제주도로 거처를 옮긴다. 고도 300~400m의 준산간 지역에 터를 잡고 사시사철 땔감나무를 구비해야 하는 그 곳에서의 삶이 시작 되었다. 초기 제주 생활을 하면서도 그는 조동익, 장필순과 함께 영화 [새드 무비]나 나윤선 등의 앨범을 함께 작업하며 우리에게 소식을 전해왔지만 이내 그의 활동을 뜸해졌다. 제주 산간 지역에서의 일상이 음악활동으로 가득 찼던 생활보다 더욱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땔감을 하고 마당을 쓸고 풀을 뽑고 산과 들을 다니며 먹을 것을 채집하고 텃밭을 일구고 하는 삶에.
그러던 그가 다시 상경하였다. 첫 솔로 앨범 작업을 위한 것은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이번 상경을 통해 그는 첫 솔로 EP [바람의 소리]을 녹음하게 되었다. 제주에서 작곡을 손에 놓은 지도 꽤 되었는데 막상 서울에 와 기타를 잡게 되니 그동안 몸 안 깊숙이 쌓여있던 곡들이 수도 없이 터져나오기 시작했다는 것. 아쉽게도 이 EP에는 그 곡들이 실리지 않았지만 그의 목소리를 통해, 혹은 다른 이의 목소리를 통해 그 곡들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