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인기에 연연해 하고 대중의 구미에 맞추려 전전긍긍하고 하는 주류 음악 내의 대중 가수도 아니면서, 자신의 고집과 비타협의 자세로 일관된 자신의 음악을 고집해 온 그녀의 인기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에너지 가득한 그녀의 음악의 '희소성'은 마력과도 같이 사람들을 끌어들였고, 그녀의 신들린 듯한 무대를 본 사람이면 그녀에게 빠지지 않고는 못배겼다.
여기 소개하는 앨범은 정규 앨범이 아니다. 정규 앨범과는 또다른 매력의, 한영애가 무대에 섰을 때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완성도가 높은) 두 장짜리 라이브 앨범이다. 이 앨범의 세션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신대철, 신윤철, 송홍섭, 김효국 등의 한국 최고의 연주인들이며, 그들의 연주는 한영애의 음악을 가장 아름다운 상태로 만들고 있다.
<인트로>가 지나고 나오는 <달>은 한영애를 대중적인 스타로 만든 계기가 된 곡으로 여기서는 김효국의 하먼드 올갠 연주로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김수철의 곡인 <바라본다>는 한영애 최고의 명곡임이 분명하고, 한돌의 곡인 <갈증>은 한영애의 파워풀한 보컬의 매력이 매력적이다. 이정선의 <건널 수 없는 강>은 한국적인 블루스 곡으로 신들린 듯한 한영애의 보컬이 대단히 인상적인 곡이다. 정원영의 곡인 <부서진 밤>은 대중적인 인기를 끌지는 못했지만 음악적인 완성도와 드라마틱한 구성이 돋보이는 감동적인 곡이다. 장제훈 작사, 이영재 작곡의 <멋진 그대여>는 한영애의 다른 노래들과 달리 낯설고 이질적인 느낌의 곡이지만, 프로그레시브(!)적인 구성을 엿볼 수 있다. 이정선의 <이어도>는 한영애의 음악적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는 '한국적 블루스'란 것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곡이다. 두 번째 디스크의 첫 곡인 <말도 안돼>가 지나면 대중의 사랑을 많이 받았던 <코뿔소>가 나오고, 이어 '신촌블루스'의 곡으로도 유명한 엄인호 작곡, 한영애 작사의 <루씰>이 나온다. <여인#3>은 한영애의 한숨 섞인 듯한 목소리만으로 듣는 이의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곡이며, 다음을 잇는 곡은 한영애 최고의 히트 곡인 <누구없소>다. 한영애 작사, 이정선 작곡의 <이별 못한 이별>은 매우 감성적인 기타 연주로 시작하여 한영애 특유의 흐느끼는 듯한 한서린 보컬이 '슬픔', '아쉬움', '후회' 등의 감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한돌 작사, 작곡의 <조율>은 라이브 앨범에서 오히려 원곡을 뛰어넘는 연주와 노래를 보여주고 있는데, 한영애의 힘찬 보컬과 백밴드의 합주가 어우러져 라이브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고 있다.
이어, 앵콜곡인 <여울목>... 이 노래는 초기 한영애의 포크 가수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곡이다. 따뜻하고 정감 있는 느낌의 이 곡을 마지막으로 긴 라이브 앨범은 끝나게 된다. ....

